사회 사회일반

"유가하락 등으로 운송비 감소" 서울 택시요금 인상요인 없다

택시업체 255곳 대상 조사

2014년보다 3억여원 절감

市 "종사자 처우개선 나설 것"



유가 하락 등 서울시 택시운송비용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당분간 택시요금 인상 요인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23일 택시회사 255개 전체 경영·재무자료를 토대로 택시운송 원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택시회사 1개사당 평균운송비용이 2014년 대비 연 3억4,000만원이 절감됐다고 23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서울연구원, 한울회계법인에 의뢰해 택시운송원가 분석 및 요금체계 개선 연구를 했다.

지난해 택시 한 대당 운송비용은 29만11원으로, 2014년도(32만1,407원)에 비해 3만1,396원(9.8%) 감소했다. 택시 한대당 기사 2명이 이용한다. 유류비용이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저유가 영향으로 택시 한 대당 하루 연료비가 2014년 6만2,798원에서 2016년 2만9,780원으로 무려 3만3,018원(52.6%) 줄었다.


LPG 평균 단가가 2014년 리터당 1,094원에서 2016년 768원으로 29.8% 떨어졌기 때문이다. LPG 가격은 2014년 상반기에 최고 1,147만원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하반기부터 급감해 2016년에는 최저 728원까지 하락했다.

관련기사



연비가 좋은 신차 도입과 운행거리 감소로 유류 사용량 자체도 12.1% 줄었다. 물가 상승률도 연 평균 1.26%에 그쳤다. 이에 따라 택시 한 대당 하루 수입은 31만736원(부가세 포함시 32만6,900원)이다. 이에 따라 택시회사 한 곳당 평균 절감비용은 2년 전에 비해 연 3억4,000만원씩 줄었다. 운송비용 절감효과가 6억2,300만원인 반면 운수종사자 감소에 따른 운송수입 감소는 2억8,300만원에 그쳤다. 운송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당분간 택시요금 인상 요인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운수종사자의 처우개선에 방점을 뒀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법인택시 영업환경 개선이 운수종사자 처우개선으로 이어지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