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조동성 인천대 총장 "국제화·스마트오피스 박차…대학 행정시스템 확 바꿀것"

결재서류·회의에 영어 병기하고

산학협력 강화 '매트릭스 교육제'

처장 칸막이 허물고 IT환경 조성

조동성 인천대 총장


조동성(사진) 인천대 총장이 최근 ‘특별한 실험’에 돌입했다. 기존의 관료적인 대학 행정을 완전히 뜯어고쳐 새로운 대학을 만들기 위한 혁신적인 행정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한 것이다.

25일 인천대에 따르면 조 총장은 지난해 7월 취임한 후 대대적인 대학 행정 개혁에 착수했다. 대표적인 것이 행정서류의 한글·영어 병기 도입이다.


조 총장은 지난 2월 모든 행정부서 결재서류 작성 때 한글뿐 아니라 영어를 병기할 것을 주문했다. 대학의 국제화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조 총장은 “대학이 말로만 국제화, 세계화를 외칠 것이 아니라 결재서류에서부터 국제화를 위한 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실제로 일부 회의를 우리말과 영어를 함께 사용하며 진행하기도 한다.


조 총장이 꿈꾸는 대학의 위상은 상당히 높다. 국내에서는 서울대를 제치고 1위에 오르는 것이고 전 세계적으로는 하버드 대학을 경쟁 상대로 겨냥하고 있다.

관련기사



학교의 교육역량과 학생의 취업역량을 강화하는 매트릭스 교육제도 도입도 조 총장의 거침없는 실험 중 하나다. 이 제도는 사회 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을 창출하고 산학협력 선도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취지에서 취임 때부터 밝혀온 구상이다. 인천대는 이를 위해 지난해 37개 기업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또 다른 행정 개혁으로 스마트 오피스 도입을 꼽을 수 있다. 스마트 오피스는 원래 미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실험적으로 시행한 제도로 도심에 있는 본사 대신 자택 근처의 사무실에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IT 기반 원격 근무 환경을 뜻한다.

조 총장은 대학 본관에 자리하고 있던 각 처장실을 없애고 대신 큰 공간에서 모든 처장들이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재 처장들은 칸막이도 없는 사무실에서 책상 하나만 놓고 업무를 보고 있다. 실험에 들어간 지 6개월여가 지나면서 지금은 어느 정도 익숙해진 모습이다.

조 총장은 스마트 오피스를 전 행정부서에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 보직교수는 “갑자기 개방된 공간에서 일을 하려니 불편한 점도 없지 않았지만 지금은 새로운 스마트 오피스 문화에 적응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