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갈수록 심각해지는 미세먼지, 중국 영향 커졌다"

2011년도 연구와 비교 … 국내 배출은 줄고 국외 영향 늘어

서울시는 ‘초미세먼지 배출원 인벤토리 구축 및 상세모니터링 연구’를 토대로 중국 등 외국에서 들어오는 미세먼지(PM-2.5)가 늘었다고 밝혔다./연합뉴스서울시는 ‘초미세먼지 배출원 인벤토리 구축 및 상세모니터링 연구’를 토대로 중국 등 외국에서 들어오는 미세먼지(PM-2.5)가 늘었다고 밝혔다./연합뉴스


중국 등 외국에서 들어오는 미세먼지(PM-2.5)가 늘어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농도 미세먼지가 덮친 상황에서 국외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서울연구원이 2015년 5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초미세먼지 배출원 인벤토리 구축 및 상세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11년 안양대·수원대가 합동으로 수행한 ‘초미세먼지 저감대책 연구’에 이어 서울시가 추진한 두 번째 미세먼지 관련 연구다.

시는 “2011년 연구가 최근의 배출량과 기상여건 등을 반영하지 못해 미세먼지 원인에 대한 해석이 부족하고 대기질 개선대책 정책 방향을 적정하게 고려하지 못했다는 의견에 따른 것”이라며 “더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정확성을 높이고자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2011년보다 지난해 중국의 영향이 늘었다. 미세먼지 기여도는 중국 등 국외가 49%에서 55%로 6%포인트 늘었다.

국내에서는 수도권 외 지역 영향은 9%에서 11%로 2%포인트 늘어났고, 수도권 지역 영향은 18%에서 12%로 6%포인트나 줄어들었다.

시 관계자는 “미세먼지는 바람을 타고 오기 때문에 북한이나 몽골의 영향도 일부 있을 수는 있다”면서도 “국외 영향은 사실상 대부분 중국발이라고 봐도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같은 기간 미세먼지 배출량에서도 드러났다.

관련기사



국내 미세먼지(PM-2.5)와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각각 5만 2,215t, 1만 9,805t씩 감소했다.

국외 아시아 지역 미세먼지(PM-10) 배출량은 반면 2,919만 7,000t에서 3,639만 7,000t으로 720만t 증가했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일수록 중국 등 국외 영향은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이 미세먼지(PM-2.5) 주의보가 발령됐던 2015년 10월 19∼22일 4일간의 기여도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본 결과, 이 기간 중국 등 국외 영향은 55%에서 72%로 17%포인트나 늘어났다.

다른 지역이 미친 영향은 23%에서 12%로 11%포인트 줄었고, 서울 자체 영향도 22%에서 16%로 6%포인트나 감소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배출원별 기여도를 분석했더니, 평상시보다 교통 영향이 37%에서 41%로 4%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난방·발전은 39%에서 33%로 6%포인트 감소했고, 비산먼지는 22%에서 23%로 1%포인트 증가했다.

시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미세먼지를 관리하기 위해 측정자료 구축과 모니터링, 배출량 자료 개선, 컨트롤 타워 기능 강화, 환경복지·환경자치 선도 시범사업, 협력체계 구성·운용, 미디어 거버넌스 구축 등 실행전략을 짰다고 밝혔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