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당뇨병, 녹내장 스마트콘택트렌즈로 진단한다

당뇨병이나 녹내장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콘택트렌즈./사진제공=UNIST당뇨병이나 녹내장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콘택트렌즈./사진제공=UNIST


콘택트렌즈로 당뇨병과 녹내장을 진단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콘택트렌즈에 삽입해 쓸 수 있는 투명하고 유연한 센서가 개발된 덕분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의 박장웅 교수를 비롯한 공동 연구진은 그래핀과 금속 나노 와이어를 기반으로 당뇨병과 녹내장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 콘택트렌즈 센서’를 개발해 27일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당뇨병 진단은 혈액 내 포도당(혈당) 농도를 기준으로 삼는다. 혈당이 기준치보다 높은 상태가 2시간 이상 지속 되면 당뇨병으로 파악한다.

혈당은 눈물로도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콘택트렌즈로 당뇨병을 모니터링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하지만 기존 스마트 콘택트렌즈에 사용되던 전극들은 불투명하기 때문에 눈에 꼈을 때 시야를 가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실제 렌즈가 아닌 렌즈 모양의 플라스틱이라 착용하기 어려웠다.


박장웅 교수팀은 투명하고 유연한 재료로 센서를 만들어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했다. 투명도가 높고 신축성이 좋은 그래핀과 금속 나노와이어로 전극을 만든 것이다. 이 센서를 이용하면 눈물 속 혈당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무선 안테나로 보내 착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무선 안테나가 전력을 이용해 센서의 정보를 읽어오기 때문에 스마트 콘택트렌즈에는 배터리 등 별도의 전원이 필요 없다.

관련기사



실명 원인 중 하나인 녹내장은 안구의 압력(안압)을 측정해 예방할 수 있다. 안압이 높은 상태가 계속되면 시신경을 압박해 녹내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안압 측정은 유전층을 이용한다. 유전층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층인데 양전하와 음전하가 양쪽으로 나뉘는 극성을 띠는 게 특징이다. 유전층의 두께는 안압이 높아지면 얇아지고, 낮아지면 두꺼워지는 식으로 변한다. 안압 측정 센서는 이를 감지해 안테나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두 센서가 동시에 적용된 스마트 콘택트렌즈 센서는 렌즈에 변형이 생겨도 무선으로 혈당이나 안압을 감지할 수 있었다. 또 사람의 눈물 속 다양한 물질에 노출돼도 센서 특성이 유지됐다. 소프트 콘택트렌즈에 전자 센서를 삽입하는 방식이라 착용감도 우수하다.

이번 연구에 제1저자로 참여한 김주희 UNIST 신소재공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살아있는 토끼에 착용시켜 혈당을 모니터링 하는데 성공했다”며 “착용감이 우수해 토끼는 별다른 이상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박장웅 교수는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나 ‘미션 임파서블’에서 볼 수 있었던 스마트 콘택트렌즈 구현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연구”라고 덧붙였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한 연구진.  앞줄에 앉은 사람이 김주희 연구원이고 뒷줄은 왼쪽부터 박지훈 연구원, 지상윤 연구원, 이창영 교수, 박장웅 교수, 변영재 교수다. /사진제공=UNIST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한 연구진. 앞줄에 앉은 사람이 김주희 연구원이고 뒷줄은 왼쪽부터 박지훈 연구원, 지상윤 연구원, 이창영 교수, 박장웅 교수, 변영재 교수다. /사진제공=UNIST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