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美 할리우드 작가들 총파업 예고

보수인상·의료보험 등 요구

협상 결렬시 2일 총파업 돌입

2007년 미국작가조합 총파업 /연합뉴스2007년 미국작가조합 총파업 /연합뉴스


미국 영화·방송의 시나리오·대본을 담당하는 작가들이 총파업에 나선다.

1일(현지시간) 미국 언론들에 따르면 미국작가조합(WGA)은 “2일 총파업에 돌입할 준비하라”고 통보했다. 작가조합과 방송영화제작가연합(AMPTP)은 현재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의견 차는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 마감시한은 2일 낮 12시 1분이다.

협상 결렬 시 할리우드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10년 만에 작가 총파업에 직면할 전망이다. 작가조합은 지난달 18일에서 24일까지 파업 찬반 투표를 벌여 투표 참여자의 96%가 파업에 찬성했다. 미국 최대 노동조합인 미국노동총연맹산업별조합회의(AFL-CIO)도 작가조합의 총파업을 지지하고 나선 상태다. 앞서 할리우드는 지난 2007년 1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00일간 작가들이 총파업에 나서면서 영화·드라마·쇼 프로그램 제작에 큰 차질을 빚은 바 있다.


양측 간 최대 쟁점은 보수와 의료보험이다. 작가들은 할리우드가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다면서 보수 인상과 의료보험을 요구하고 있다. 작가료 지불을 체납하는 불공정 관행 개선도 쟁점이다. 이들은 미국 주요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지난해 510억 달러(약 58조1,655억 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작가료 체납이 횡행해 제때 돈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 작가들의 총파업 움직임은 직업 환경의 불안전성에서 비롯된 측면도 크다. 실제로 넷플릭스나 아마존 등 신흥 강자들이 진출하면서 TV 미니시리즈들의 분량이 22∼24편에서 8∼12편으로 급격히 줄어 작가들의 수입이 현격히 줄었다. 작가들의 보수는 보통 에피소드 1편을 기반으로 책정되기 때문이다.

협상이 결렬돼 작가들이 총파업에 나선다면 올해 예정된 주요 영화들의 개봉이 늦춰지고 방송 편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해 프로그램 재방송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싱크 탱크인 밀켄 연구소(Milken Institute)는 작가들의 총파업으로 21억 달러(2조3천950억 원)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