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文 대통령, 한-미 정상회담 조기 개최 시사

文 "필요시 곧바로 워싱턴으로 날아가겠다"

조기 개최만큼 치밀한 준비도 중요

문재인 대통령 선서/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 선서/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취임식 연설에서 “필요하면 곧바로 워싱턴으로 날아가겠다”고 밝힘에 따라 한미 정상회담의 조기 성사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은 “안보 위기도 서둘러 해결하겠다.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동분서주하겠다”며 외교·안보 분야 구상을 언급한 뒤 곧바로 방미 구상을 밝혔다. 이는 현재의 엄중한 북한 및 북핵 상황에서 한미 정상간 긴밀한 조율 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 5개월간의 대통령 자리 공백으로 미국 주도의 한반도 현안 논의때 한국이 뒷전으로 밀리는 이른바 ‘코리아 패싱’이라는 우려를 해소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문 대통령은 ‘국민께 드리는 말씀’에서 “한미동맹은 더욱 강화하겠다”는 말도 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내달께 문 대통령의 방미와 임기 중 첫번째 한미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조기 정상회담의 관건은 역시 외교장관을 비롯한 외교·안보 분야 각료 등 ‘선수 선발’과 대미 현안에 대한 정부의 ‘작전 수립’이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느냐로 보인다.

관련기사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정책에 최고 수준의 압박을 가하는 것으로 노선을 잡았고, 기존 한미 합의를 뒤집어가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비용의 한국 부담을 요구했다. 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언급했다.

그런만큼 문 대통령은 트럼프의 정책과 요구에 대한 ‘답’을 가지고 정상회담에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신영인턴中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