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일 위안부 합의’ 일본 언론 입장은? “재협상에 응하면 안 된다. 고집하면 관계 냉각될 것”

‘한일 위안부 합의’ 일본 언론 입장은? “재협상에 응하면 안 된다. 고집하면 관계 냉각될 것”‘한일 위안부 합의’ 일본 언론 입장은? “재협상에 응하면 안 된다. 고집하면 관계 냉각될 것”




오늘 12일 일본 언론은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비판적인 국내 여론을 전한 것을 뉴스로 전했다.


한일 위안부 합의 관련 일본 언론은 “우리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게 현실”, “민간 영역에서 일어난 문제에 대해 정부가 해결하는 건 한계가 있어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을 상세히 밝혔다.

이어 실제 위안부 합의에 대한 한국 내 여론이 좋지 않아 앞으로 한일관계에 불씨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일부 매체는 “재협상에 응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또한, 요미우리신문은 “한일합의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정한 국가 간의 약속으로, 합의에 근거해 일본 정부는 한국의 재단에 10억 엔을 출연했다”며 “정권교체는 재협상의 이유가 될 수 없다”고 이야기했다.

“일본 정부는 한국 측에 문제를 되돌리지 말도록, 재협상에는 절대 응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위안부 합의를 파기하려는가’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서도 “한국 새 정권은 합의의 중대함을 잊으면 안 된다”며 “문 대통령이 (재협상이라는 대선 당시) 공약을 고집하면 한일관계가 한층 냉각되는 것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어 아사히신문은 “아베 총리가 위안부 합의를 착실히 이행할 필요성을 언급한데 대해 문 대통령은 한국내에서 합의에 대한 혹독한 반응이 있다고 하는 등 양 정상이 첫 협의에서부터 현안에 대한 입장차가 선명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문 대통령은 ‘재협상’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그 필요성은 강하게 시사했다”며 “새 정권은 앞으로 합의에 이른 경위를 검증하고 문제점을 정리해, 일본 정부와 어떻게 협상할지를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한일의원연맹 간사장인 더불어민주당 강창일 의원은 12일 “한일 위안부 합의 재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파기밖에 없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한 강 의원은 “모든 협정이나 조약까지도 재협상 내지 파기가 가능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으며 “잘못된 것은 고칠 수 있고 그런 의미에서 (한일 합의는) 기본적으로 아주 잘못됐다”며 “지난해 그냥 얼렁뚱땅하면서 밀실에서 야합하듯이 위안부 합의를 발표했다. 국민과 나라의 체면을 손상한 사건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사진=연합뉴스TV 방송화면 캡처]

박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