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연이틀 인민일보 1면...文에 공들이는 中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이틀 연속으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통화와 축전을 연일 1면 톱기사로 보도하면서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로 최악으로 치달았던 양국 관계가 회복의 단서를 마련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인민일보가 중국 공산당 지도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최고 권위 매체인데다 시 주석이 공식 석상에서 자주 언급하는 신문이라는 점에서 이틀째 이어진 보도는 시 주석의 한중관계 개선 의지를 뚜렷하게 드러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안보 이익을 해치는 사드는 확고히 반대한다’는 중국의 기본 입장이 쉽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양국 관계가 단기간에 이전과 같은 수준으로 회복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인민일보는 12일 ‘시진핑 주석이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중 정상의 첫 통화 내용을 비교적 상세히 소개했다. 신문은 시 주석이 이날 통화에서 “25년 수교의 한중 관계는 큰 발전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양측이 서로 이견을 좁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언급한 점을 부각시켰다. 이 같은 발언은 사실상 사드 이슈를 겨냥한 것으로, 사드 사태 이후 최악으로 치달았던 갈등을 풀고 관계를 복원하자는 뜻을 전했다는 해석이다. 인민일보는 전날 시 주석이 문 대통령에게 보낸 당선 축전 역시 1면 머리기사로 게재했다.

관련기사



문제는 한중 관계 악화의 핵심 이슈인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기본 입장이 변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시 주석은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기본 입장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는 사드에 대한 중국의 반대 입장이 완고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 주석이 양국의 이견을 좁혀 공동의 이익을 찾자고 언급하기는 했지만 이견 해소의 방향은 사드 철회여야 한다는 뜻을 드러낸 셈이다.

다만 문 대통령이 사드와 북핵 문제를 논의할 대표단을 파견하기로 하고 중국도 이를 환영하는 만큼 양측이 사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교집합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적지 않다. 베이징의 소식통은 “시 주석이 문 대통령을 베이징으로 초청한 만큼 조속히 양국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관계 개선 속도가 빨라질 수도 있다”며 “적어도 2~3개월 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문 대통령의 방중 시기 전에 사드와 북핵 관련 양국의 물밑 교섭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