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지역 소각시설, 방염화학물질 과다 배출

부산 보건환경연구원 조사…다이옥신보다 최대 1,000 배 높아

생활폐기물을 태우는 과정에서 폴리브롬화디페닐에테르(PBDEs)가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인 다이옥신보다 많게는 1,000배나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09년 신규 잔류성유기오염물질로 지정된 PBDEs는 대표적인 브롬화난연제로 화재 발생 시 지연을 목적으로 주로 플라스틱, 섬유, 전기·전자제품 등의 방염처리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생활폐기물 3곳, 의료폐기물 1곳, 지정폐기물 1곳 등 소각시설 5곳을 대상으로 배출가스를 조사한 결과 PBDEs의 배출농도가 다이옥신보다 높았다고 17일 밝혔다. 특히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PBDEs 농도는 14.090 ~ 151.238 ng/Sm3으로 다이옥신보다 약 250 ~ 1,000배 월등히 높았다.


또 소각재(바닥재, 비산재) 중 PBDEs 농도는 바닥재는 평균 4.620 ng/g, 비산재는 평균 1.412 ng/g으로 바닥재가 비산재보다 3.3배 높게 검출됐다. 일반적으로 비산재의 경우 다이옥신,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많아 지정폐기물로 처리되는 반면 바닥재의 경우 보통 일반폐기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은데 PBDEs는 오히려 바닥재에서 높게 검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PBDEs는 신규 오염물질로 지정되긴 했으나 관리기준 등이 아직 마련되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이처럼 바닥재에도 PBDEs를 비롯해 다른 미규제물질이 포함될 가능성과 소각 시 배출량이 많은 만큼 관리나 처리에 주의가 요구된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PBDEs에 대한 관리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며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을 대상으로 다이옥신뿐만 아니라 PBDEs에 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잔류성유기오염물질을 관리해 나갈 예정”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