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美서 3D 프린터로 쥐 인공난소 제작

노스웨스턴대 의대 발표

미국 과학자들이 3차원(3D) 프린터를 이용해 포유류 암컷의 생식기능 재생을 돕는 ‘인공난소’를 제작했다. 미성숙 난자를 배양해 성숙시키는 지지체(支持體)다. 난소가 제거된 암컷 쥐에 이를 이식하자 생식기능이 회복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의대의 테레사 우드러프 교수 연구팀은 16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이번 연구 결과를 실었다.


3D프린터로 인공난소를 찍어내는 ‘잉크’로는 젤라틴을 썼다. 젤라틴은 물리적 성질을 조절하기 쉽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진은 지지체에 쥐의 난포세포(난자로 자랄 수 있는 세포)가 잘 붙어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조를 최적화하고 여기서 난포세포를 8일간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 인공난소에 40∼50개의 난포세포를 붙여 배양한 뒤 난소를 제거한 쥐에 이식했다.

관련기사



1주 정도가 지나자 지지체 내부에 혈관이 형성됐고 3주 뒤에는 미성숙 난자가 제대로 성숙하는 것이 관찰됐다. 미성숙 난자가 붙은 지지체를 이식한 암컷 쥐를 수컷과 교미시키자 건강한 새끼를 낳기도 했다.

우드러프 교수는 “3D프린터로 장기를 생산할 수 있음을 이번 연구로 다시 보였다”며 “불임으로 고통받는 여성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도록 결과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김지영기자 jikim@sedaily.com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