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사 예측범위 넘어섰다" 檢 패닉...기수 파괴·대대적 인적쇄신 전망

중앙지검 '검사장급'으로 격하

檢총장 등 파격인사 이어질 듯

'총장 대행' 김주현 차장도 사의

문재인 대통령의 ‘파격 인사’로 검찰 내부는 대혼란에 빠졌다. 예측 범위를 넘어선 기수 파괴로 검찰 내부의 인적 대수술을 예고했다는 평가다.

19일 새로 임명된 윤석열(57) 서울중앙지검장은 사법연수원 23기로 전임자인 이영렬(59·18기) 부산고검 차장보다 무려 다섯 기수 아래다. 직전까지 평검사 신분이었던 윤 지검장이 이번에 검사장으로 승진해도 고검장급이 맡아온 중앙지검장에는 체급이 미치지 못한다. 어느 측면에서 봐도 전례 없는 파격 인사다. 파격 인사의 이면에는 검찰 수사의 중심인 서울중앙지검 권한을 분산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


서울중앙지검은 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지난 2005년부터 관례적으로 고검장급이 지검장을 맡아왔다. 중앙지검장은 곧바로 검찰총장 유력 후보군에 포함되면서 권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게 됐다. 특히 대검 중앙수사부 폐지 이후 검찰 화력의 핵심으로 재편되면서 정치권력과의 밀월 관계에 대한 지적이 더욱 거세졌다. 문 대통령이 중앙지검장 자리를 다시 검사장급으로 낮춰야 한다고 판단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관련기사



이번 인사로 검찰 내부에서는 줄사표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당장 인사 발표 이후 검찰총장 대행인 김주현(56·18기) 대검 차장이 사의를 표명했다. 검찰총장 자리는 다음 순번인 윤웅걸(51·21기) 기조부장이 대행을 맡게 됐다. 조직을 우선시하는 보수적 검찰 관례상 ‘후배 승진’은 선배의 용퇴로 연결돼왔다. 당장 서울중앙지검 내 각 부서를 지휘하는 노승권 1차장(21기), 이정회 2차장(23기), 이동열 3차장(22기) 등 세 명은 윤 지검장과 동기이거나 선배다. 검찰 내부에서는 서울중앙지검 차원을 넘어 검사장급 전체에서 사퇴 압박을 받게 된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반응이다. 과거에도 지난 참여정부 시절 검찰총장보다 11기수 낮은 강금실 법무부 장관의 등용 때 검사장급 인사들이 줄줄이 사표를 낸 전례가 있다.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 등 주요 지휘 보직에서 ‘파격 인사’가 앞으로 더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 검찰 관계자는 “예측할 수 있는 범위를 이미 넘어섰다”고 말했다. 검찰 내부에서 검사장급 자리 정리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면 이르면 다음달로 예상되는 평검사 인사에서 대대적인 검찰조직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