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지능형 가상 비서' 서비스 특허 급증...2년 전에 비해 70% 증가

가상 비서 ‘빅스비’를 탑재한 삼성 갤럭시 S8 /연합뉴스가상 비서 ‘빅스비’를 탑재한 삼성 갤럭시 S8 /연합뉴스


지능형 가상 비서를 탑재한 서비스의 특허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청은 삼성 ‘빅스비’, 애플 ‘시리’ 등 자체 인공지능 가상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의 특허가 크게 늘었다며 21일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지능형 가상 비서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개인 비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하면 주문·예약·검색 등을 대신 처리한다.

지능형 가상 비서 관련 특허출원은 2013년 11건에 불과했지만 2014년 36건으로 무려 2배 이상 증가했고, 2016년에는 61건으로 2년 전보다 70% 가량 증가했다. 향후 이 기기는 각종 스마트 가전기기나 차량에 탑재돼 응용 범위가 더욱 넓어질 뿐 아니라 사용자와 단말기 간 새로운 소통방식이란 점에서도 향후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 기술 동향을 보면 지능형 가상 비서 서비스 분야가 전체 누적 출원 중 60.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최근 3년 사이 2건에서 59건으로 30배 이상 급증했다. 지능형 가상 비서는 사물인터넷(IoT)과 깊은 관련이 있어 향후 4차 산업을 주도할 국내 기업에서 더욱 투자를 확대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출원인별로는 국내 기업이 전체의 49.7%를, 해외 기업이 25.2%, 대학 및 연구소가 12.8%, 개인이 12.3% 순이었다.

이동환 특허청 이동통신심사과장은 “앞으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음성을 통해 지능형 가상 비서만을 이용하는 ‘제로 터치’ 시대가 올 것”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려면 의료·금융·전자결제 등 타 산업 분야 기업들과 협조해 차별화된 가상 비서 서비스를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허청은 4차 산업혁명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기술을 정확히 심사하기 위해 특허제도개선협의회와 변리사 등의 의견을 수렴해 ‘4차 산업혁명 대비 특실 심사기준’을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