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조기술 혁신 선보이는 '부산국제기계대전' 열린다

24~27일까지 부산 벡스코 1·2전시장서

25개국 520개사 1,700부스 규모

스마트 공장 등 제조기술 혁신 선보여

정보통신기술(ICT)과 기계기술의 융합을 통해 4차 산업 혁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제8회 부산국제기계대전’(BUTECH 2017)이 부산 벡스코 제1·2전시장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역대 최대 규모인 25개국 520개사 1,700부스 규모로 스마트 제조기술 혁신의 장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자리에는 세계 유수의 레이저가공기술을 보유한 업체부터 유공압, 제어계측기기, 운송·운반기계, 용접·표면처리, 부품·소재, 환경 등의 기계 기술분야 업체들이 참가해 최신 기술과 장비를 소개한다. 스마트제조기술특별전을 비롯해 공장자동화, 로봇산업, 3D프린팅산업 등 4차 산업을 이루는 첨단 기술업체들도 대거 참여한다. 제조업의 근간인 뿌리산업관, 안전작업을 위한 공장 용품관 등도 마련됐으며, 부산테크노파크 주최의 스마트 제조기술 콘퍼런스, 한국기계연구원 부산레이저기술지원센터 주최의 기술교류회, 대한기계학회 등 학술대회도 함께 열린다.


이번 전시회에는 중동과 아프리카, 유럽, 북미 등에서 바이어 1,500여 명이 행사장을 찾을 것으로 주최 측은 내다봤다. 일반 관람객도 12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부산기계공업협동조합 관계자는 “부산과 경남은 국내 기계 산업 생산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며 “이번 전시회를 통해 17억 달러 이상의 거래창출효과와 850억 원 이상의 간접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이라 말했다.

관련기사



이번 전시회는 설비와 물류자동화를 기반으로 공정자동화, 공장자동화, 공장에너지관리, 제품개발, 협업형 정보경영체제인 공급사슬관리(SCM), 기업자원관리(ERP) 등이 ICT를 이용해 구현하는 미래형 공장을 의미하는 ‘스마트공장’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기획됐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기획과 설계에서부터 생산, 유통·판매 등 모든 과정을 사물인터넷(IoT)이나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으로 통합해 자동화·디지털화를 구현한 시스템이다.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정부는 올해 1,108억원을 들여 중소·중견기업 2,200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최근 스마트공장 보급목표를 2020년 1만 개에서 2025년 3만 개로 상향 조정했다. 부산시 역시 부산테크노파크, 부산기계공업협동조합 등과 함께 스마트공장 확산사업을 벌이고 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