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유착방지재 기술사업화 성공…수입대체 효과 클 듯

김성철 영남대 교수팀 PEO합성 무독성 유착방지 필름 기술사업화 성공

순수 화학합성제품으로 높은 글로벌 경쟁력 갖춰…생산설비 구축 추진

현우테크가 영남대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이전 받은 기술을 토대로 유착방지 필름 제조기술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 기술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 대체 효가가 클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우테크 연구원들이 개발에 성공한 유착방지 필름 단면을 확인하고 있다./사진제공=현우테크현우테크가 영남대 산학협력단으로부터 이전 받은 기술을 토대로 유착방지 필름 제조기술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 기술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수입 대체 효가가 클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우테크 연구원들이 개발에 성공한 유착방지 필름 단면을 확인하고 있다./사진제공=현우테크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유착방지(Adhesion Barrier) 필름에 대한 제조기술이 국내의 한 산한공동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수입대체 효과가 클 뿐 아니라 역수출로 국외 시장으로 뻗어 나가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평가다.


24일 현우테크(대표 이남식)와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에 따르면 현우테크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를 이용한 무독성 심부체강창상피복제(유착방지제) 제조와 관련한 원천기술 확보하고 국내 최초 제품화에 성공했다. 유착방지제는 자궁강, 복부, 골반, 척추 등 외과적 수술 후 수술 장기가 주변 장기나 신경 등에 달라붙는 유착 합병증을 막기 위해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이다. 국내에서 겔(젤·gel)·솔(sol) 타입이 아닌 필름 형태로 개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유착방지제는 인체 내 효소 작용으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분해 흡수되는데 현우테크는 더 나가아 유착방지 필름의 체내 분해 속도 조절 제품을 개발 중이며, 인공 피부, 색전 물질 등에 관한 연구도 한창이다. 현재 현우테크는 제품생산 공장과 제조 공정 개발을 마치고 임상용 생산설비 구축을 준비 중이다. 또 부산대학교병원을 임상병원으로 지정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신청을 준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제조기술들은 이미 특허 등록을 완료했으며, PCT 국제특허출원 등 해외 특허 취득도 진행 중이다. 이남식 현우테크 대표는 “제품 개발단계부터 임상의가 참여하고 있어 임상시험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국내에는 거의 없는 의료물질을 생산해내야 하는 만큼 설비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영남대 산학협력단 관계자는 “유착방지제는 일반 보험수가의 적용을 받게 됨에 따라 제조 원가비율이 높은 제조사의 수익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그 결과 제조원가가 낮고 판매가격이 탄력적인 현우테크는 동 업계에서 경쟁력과 성장성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의료용 유착방지제 시장 규모는 세계적으로 4조5,000억 원에 달해 상당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시장 규모는 2016년 기준 1,300억 원으로 최근 조직유착방지제 사용에 대한 의료보험 급여적용으로 인해 사용이 급증할 전망이다.

이 같은 성과는 현우테크와 영남대가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한 지 1년4개월만에 나타났다. 현우테크가 상용화에 성공한 유착방지제는 김성철 영남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유착 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기술(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polymer film and biodegradable polymer film for anti-adhesion)을 기반으로 기술사업화한 것이다. 현우테크는 지난해 2월 기술보증기금 대구기술융합센터의 지원으로 기술을 이전받아 상용화 준비를 마쳤다. 대구경북첨단복합의료산업진흥재단, 김해의생명센터,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등도 힘을 보탰다. 이 과정에서 현우테크는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에 연구소를 개소한 데 이어 대구경북첨단복합의료산업진흥재단 실험동물센터에서 2차례 이상의 전임상시험을 마쳤다. 현우테크는 체내 부착성이 높은 유착방지 필름을 개발하면서 비강 시술용 바(bar) 타입의 유착방지 블록과 찰과상 등에 사용 가능한 창상 피복재도 함께 개발했다.

이남식 현우테크 대표는 “수입품 등 기존 제품은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 대부분 생체유래물질을 이용한 제품으로 비록 소량이라 하더라도 독성물질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순수한 화학 합성제품으로 독성이 있는 가교제나 가소제 등을 대신해 전자빔 가교 기술을 도입하는 등 무독성 제품으로 개발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1년 설립한 현우테크는 LG전자 납품업체로의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발판으로 의료기기 등 비관련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