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한민국 산림 81.3% 건강…도시산림은 쇠약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전국 산림건강성 진단·평가 결과 첫 발표

전국 산림의 81.3%가 건강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도시에 있는 산림은 점점 쇠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 산림의 건강·활력도 조사 결과한 결과 우리 산림의 81.3%는 건강했고 건강성이 다소 떨어지는 산림이 17.2%, 쇠약한 산림이 1.5%로 나타났다고 24일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 산림 총 1,000개의 고정 조사표본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고 수관활력도, 수관급, 형질급, 종다양성,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유효토심 등 7개를 평가했다.

평가항목별 결과를 보면 나무들의 건강 상태인 수관활력도의 경우 건강한 등급이 89.9%로 나타났고 쇠약한 등급이 0.6%로 분석됐다.

행정권역별로 보면 강원, 충북과 전남이 매우 건강한 1등급이 9∼10%로 가장 높았으며 매우 쇠약한 5등급이 1% 이하로 종합적 산림 건강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됐다.


경기, 충남, 전북은 매우 쇠약한 5등급이 5∼6%로 다른 권역보다 높게 나타나 정밀 조사를 통한 쇠약 원인 분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도시 산림은 매우 건강한 1등급이 일반 산림의 38%로 낮았고 매우 쇠약한 5등급이 2배로 높게 나타나는 등 이에 대한 원인 구명과 보전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과거 5년 전(2007년∼2010년)과 비교했을 때 도시 산림 나무들의 수관활력도는 건강한 등급이 평균 2.2% 감소했고 쇠약한 등급이 평균 9.0% 증가했다. 토양 속의 유기물함량과 전질소는 생육 적정범위보다 낮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도시 산림은 깨끗하고 시원한 공기를 도심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건강한 산림일수록 이 기능이 더 커지므로 산림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산림관리 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평가됐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김선희 박사는 “건강한 산림일수록 미세먼지와 폭염저감 효과 등 산림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더 높게 발휘할 수 있다”며 “정기적인 산림건강성 진단·평가를 통해 산림의 건강성을 유지할 있는 산림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