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도발 속 '평창올림픽' 무사 개최여부 관심사로 떠올라

일부 안전 우려 주장에…전문가들 "영향 없을 것"

평창올림픽 홍보대사 소프라노 조수미(왼쪽)와 이희범 조직위원장/연합뉴스평창올림픽 홍보대사 소프라노 조수미(왼쪽)와 이희범 조직위원장/연합뉴스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한반도 전쟁 위기에 쏠렸던 세계의 눈길이 내년 2월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으로 돌려졌다. 한반도긴장 속에서 대회가 무사히 치러질 수 있느냐는 게 주된 관심사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25일 “북한의 위협이 올림픽을 망칠 정도로 심화할지, 최근 올림픽 때마다 안보와 공중 보건 우려가 제기되다가 결국은 수그러든 것처럼 이번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을지는 알 수 없다”고 보도했다. 이에 한반도 정세와 올림픽에 관해 정통한 영국 카디프대의 세르게이 라드첸코 국제관계학 교수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김정은이 평창올림픽을 방해할 생각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지난달 북한 여자 아이스하키팀이 강릉에서 열린 국제아이스하키연맹 세계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고 한국 여자 축구 대표팀이 평양에서 북한 여자 대표팀과 경기를 가진 점 등을 들어 한반도 전쟁위기설 속에서도 “남북한 간 스포츠 분야 관계는 더 좋을 수 없는” 상태라고 분석했다. 또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한반도 상황을 매우 면밀히 주시하면서 관련 정보를 직접 받아보고 있다”며 “과거 여느 올림픽 때처럼 IOC와 유엔총회가 평창올림픽을 전후한 기간 국제 휴전을 요청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IOC는 최근 성명에서 “우리는 현재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평창올림픽을 안전하게 치를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다 하는 게 우리의 목표이자 책무”라고 밝혔다. 미국올림픽위원회 고위관계자도 미국팀이 한반도긴장 때문에 훈련계획을 바꿀 계획은 없으며, 미국팀이 해외에서 경기할 때 늘 그렇듯이 미 국무부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전·현직 올림픽위원회 관계자들은 겨울 올림픽 개최지를 다른 곳으로 변경하는 것은 너무 늦었다고 말하며, 한국이 긴장완화와 남북화해 증진을 위해 북한에 분산개최를 제의할 것 같지도 않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북한의 장웅(78) IOC 위원은 지난 2월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참가 여부와 관련, “참가하지 않을 이유도, 할 수 없는 이유도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국제올림픽역사학자회(ISOH) 회장 데이비드 월레친스키는 북한의 겨울올림픽 경기력이 여름올림픽에 비해 약한 점을 들어 “여자 피겨스케이팅과 쇼트트랙 정도에 출전, 최하위에 그칠 것인데 참가할 이득이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영국의 BBC 방송도 지난달 하순 평창 올림픽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한반도긴장이 “올림픽을 위험에 빠뜨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같은 나라의 더 선은 지난 3일 극우성향 연구소 헨리잭슨협회의 아시아연구센터 소장 존 헤밍스의 말을 인용, 올림픽 경기 관람을 위해 평창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운명은 “김정은 군대의 자비심에 달려 있다”며 북한군 자살특공대의 침투, 장사정포 포격 가능성 등을 위협 요인으로 들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