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한국 제품 실제보다 저평가"

무협 국가 브랜드 정책 보고서

"정부차원 브랜드가치 높여야"

우리나라 국가 브랜드 경쟁력 부족으로 한국 제품이 실제 가치보다 저평가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차원에서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주요국의 국가브랜드 제고 정책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미래 국가 브랜드 정책을 제안했다.

무협에 따르면 한국 브랜드 가치는 지난 2015년 기준 1조920억달러에 달하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브랜드 가치비율은 76%로 경제규모와 비교해 저평가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미국·독일·영국은 모두 111%로 우리나라보다 높았다.


한국 제품은 2012년 기준 실제 가치보다 9.3% 할인돼 수출됐다. 특히 중소기업(10.6% 할인) 제품이거나 선진국 수출(미국 11.5%, 유럽 13.7%)인 경우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메이드인코리아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창출하고 수출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정부 차원의 노력을 강조했다. 우리나라 국가 브랜드 정책의 경우 전담조직의 잦은 변경으로 정책 추진의 일관성 및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대내외 공감을 확보할 수 있는 국가 브랜드 구축 △유기적인 브랜드 개념체계 구축으로 국가 브랜드 확장 △통합 국가 브랜드 관리 시스템 구축 △해외 현지 채널을 활용하는 네트워크 조직 운영 △국제적 이벤트를 활용한 홍보 효과 극대화 △기업-국가 브랜드 간 선순환 체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 등을 제시했다.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