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BMW, 안성에 새 물류센터...亞 허브 노린다

축구장 30개 규모...8만6,000여개 부품 보관

전국 각지 당일 배송으로 AS 품질 업그레이드

김효준 사장 "1년내 일자리 1,000개 만들 것"





BMW 코리아의 경기도 안성 부품 물류센터 모습. 총 1,300억원을 투입 지난해 3월 공사에 들어가 1년 2개월 만에 완공됐다. 축구공 30개 크기인 7만평(21만 1,500㎡) 규모로 국내 수입차 브랜드가 보유한 물류 센터 중 최대 규모다.  /사진제공=BMW 코리아BMW 코리아의 경기도 안성 부품 물류센터 모습. 총 1,300억원을 투입 지난해 3월 공사에 들어가 1년 2개월 만에 완공됐다. 축구공 30개 크기인 7만평(21만 1,500㎡) 규모로 국내 수입차 브랜드가 보유한 물류 센터 중 최대 규모다. /사진제공=BMW 코리아


AS 품질 강화에 아시아 허브 위상, 600명의 고용 창출 효과까지…. BMW그룹 코리아가 안성에 문을 연 새 부품물류센터(RDC)를 통해 1석3조의 효과를 노린다.

BMW그룹 코리아는 30일 경기도 안성에 새로운 부품물류센터를 오픈했다. 지난해 3월 첫 삽을 뜬 후 1년2개월 만이다. 안성 부품물류센터는 7만평(21만 1,500㎡)의 부지에 1만 7,000평(5만 7,103㎡) 규모로 건립됐다. 부지 면적은 축구장 30개를 한 데 모은 크기로 국내수입차 브랜드들이 보유한 물류센터 중 가장 클 뿐만 아니라 독일을 제외한 BMW의 글로벌 물류센터 중에서도 으뜸이다. BMW는 이번 안성 물류센터 건설에 1,300억원을 투자했다.

새 물류센터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서 BMW의 AS 품질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국내에 보유할 수 있는 부품이 크게 늘어난다. 기존의 이천 부품물류센터의 경우 3만5,000여종의 부품을 비치했지만 안성 센터는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8만6,000여종의 부품을 보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 대비 부품이 차지하는 비율인 부품 적치율을 이천센터의 95%에서 75%로 줄였다. 포화상태였던 이천센터와 달리 여유 공간이 생긴 만큼 적재는 물론 부품을 찾고 꺼내는 것이 훨씬 수월해졌고 12개의 도크와 4개의 확장용 도크를 설치해 부품 처리 능력도 3배 이상 높였다. 인천공항과 평택항에서 1시간이면 도달하고, 중부·평택-제천·서해안고속도로 등 인근 고속도로와 맞닿아 있는 등 입지도 좋아졌다. 이는 곧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로 이어질 전망이다. 4월 기준으로 96% 수준인 부품공급률은 더 개선될 전망이다. 수도권의 경우 하루 3회, 지방은 하루 1회씩의 부품 공급 체계를 갖춰 정시 공급률도 100%에 도전한다. 볼프강 바우먼 BMW 그룹 부품물류 담당 부사장은 “이번 RDC 오픈으로 딜러사와 고객들에게 1년에 200만 건의 이상의 부품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확장된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BMW그룹 코리아는 중국과 일본, 말레이시아 등 인근 국가들과의 부품 협력체제를 강화해 안성 부품물류센터를 그룹 내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부품 물류 허브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관련기사



세계 최대 규모의 물류센터가 새로 생기면서 지역 경제는 물론 배송 등 연관 산업의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김효준 BMW그룹 코리아 사장은 이날 오픈 행사 후 기자들과 만나 “RDC를 통해 600여명의 일자리가 새로 생길 것”이라며 “앞으로 개설 예정인 쇼룸과 서비스센터를 포함하면 연내 500명, 1년 내 1,000명의 고용 창출이 단계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2022년에는 부품물류센터 규모가 더 확대될 전망이다. BMW그룹 코리아는 안성 부품물류센터에 1만평(3만1,000㎡) 규모의 확장부지를 보유하고 있다. 김 사장은 “재고적치율이 85~90% 되면 확장해야 한다”며 “당초 10년 후로 계획했지만 5년 후면 증축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안성=조민규기자 cmk25@sedaily.com

조민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