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5대 지방은행도 정규직 전환 속도 낸다

텔러직군 꾸준히 정규직 전환해와

대상 적어 간접고용자 포함도 고려

'쥐어짜기식' 코드 맞추기 우려도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 기조에 발맞춰 지방은행들도 비정규직에 대한 정규직화 검토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씨티은행과 신한은행을 필두로 시작된 은행권 정규직화 바람이 지방은행으로까지 확산된 것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권 기조에 맞추기 위한 ‘쥐어짜기’식 정규직화에 대한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0일 은행권에 따르면 최근 5대 지방은행들 사이에서 비정규직 직원들의 정규직화 검토가 일제히 이뤄지고 있다. 최근 한 은행장은 임원회의에서 정규직화가 얼마나 가능할지 알아보라는 지시를 내렸으며 다른 은행들도 인사 실무자들을 통해 전반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지방은행의 한 관계자는 “우리도 현재의 정규직화 바람에 동참하기로 했다”며 “다만 전환할 만한 대상이 썩 많지 않아 다각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방은행들 역시 시중은행처럼 창구업무를 보는 소위 ‘텔러’ 직원들을 꾸준히 정규직으로 전환해왔기 때문에 현재는 비정규직이 그리 많지는 않은 상황이다. 금융감독원과 각사 경영공시 등에 따르면 현재 부산·경남·대구·전북·광주 등 5개 지방은행의 직접고용 직원은 1만2,000여명가량인데 이 중 정규직화를 검토해볼 만한 직원은 기간제 700여명과 무기계약직 360여명 정도다. 기간제로 일하는 사람들은 퇴직 재채용자를 포함해 건물관리·실내악단 등이며 무기계약직은 주로 사내 변호사나 기술금융 심사역 등 전문인력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지방은행들이 청원경찰과 운전기사 등이 포함된 간접고용까지 아우르는 정규직화 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5대 은행의 간접고용 인원은 1,800여명으로 추산된다. 청원경찰의 경우 1990년대에는 은행들이 직접 고용해왔으나 IMF 이후 2000년대 들어서는 대부분 용역 업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용하고 있다.

관련기사



다만 은행권에서는 이처럼 정권의 코드에 맞추기 위해 조금이라도 정규직화를 해내야 한다는 데 대해 회의적인 시각도 짙어지고 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정규직화 확대는 신규 채용을 늘리는 것과 상충될 수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 하는데 지금은 그럴 분위기가 아니다”라며 “그나마 합리적인 임금 정책인 직무급제에 대한 논의가 서둘러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