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0월초 추석 전후로 열흘 짜리 '황금연휴' 온다

3일 개천절, 4~5일 추석, 9일 한글날 겹쳐

2일만 휴업·재량휴업일 지정하면 10일 연휴

文대통령은 후보 시절 '2일 임시공휴일' 공약



5월에 이어 오는 10월 또 다시 10일짜리 황금연휴가 올 지 직장인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4일 교육부에 따르면 충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상당수 학교들이 10월 2일(월요일)을 재량휴업일로 지정하기로 했다. 10월3일은 개천절, 4~5일은 추석 연휴이다. 6일(금요일)은 대체 공휴일이다.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보면 설날과 추석에 따른 공휴일이 다른 공휴일과 겹치면 연휴 다음의 첫 번째 비공휴일이 대체공휴일이다. 이어 9일(월요일)은 한글날이다.

관련기사



이처럼 10월초에는 3~9일 공식 연휴만 일주일에 달한다. 나아가 기업이나 학교가 2일에 근무나 수업을 하지 않을 경우 9월30일부터 10월9일까지 10일에 이르는 황금연휴가 발생한다. 이미 일선 학교에서는 2일을 재량 휴업일로 지정한 상태다. 이날 충북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각급 학교의 2학기 학사일정을 취합한 결과 초등학교 259곳의 95%, 중학교 127곳의 97.6%, 고등학교 83곳(1·2학년)의 88%가 10월 2일을 재량휴업일로 지정했다. 재량 휴업일 지정 현황은 다른 지역의 학교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일부 대기업들도 2일을 징검다리 휴일로 지정할 가능성이 많다.

5월에도 1일 노동절, 3일 석가탄신일, 5일 어린이날에다 6일 토요일, 7일 일요일, 9일 대선 임시공휴일 등 ‘빨간날’이 하루 걸러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화, 효성 등 일부 기업들은 2일과 4일 공동연차를 쓰도록 해 9일간 업무를 쉬기도 했다. 또 다른 대기업들은 공동 연차는 아니더라도 개인별로 자율적인 연차 사용을 적극 권고해 최장 11일간의 황금연휴가 발생하기도 했다. 당시 일선 학교에서도 1∼2일, 4일 어버이날인 8일까지 재랑휴업일로 정해 대통령선거일인 9일까지 무려 11일간 휴업한 학교도 있었다.

오는 10월에는 10일짜리 황금 연휴가 발생할 가능성이 5월보다 더 높은 상황이다. 2일만 재량휴업일로 정하거나 휴무를 실시하면 되기 때문이다. 나아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약속한 만큼 공식적인 10일짜리 연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내수 진작을 위해 공휴일과 공휴일 사이 샌드위치 데이의 임시공휴일 적극 추진한다고 공약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정책공약집 ‘나라를 나라답게’에서 국민 휴식권 보장과 관련, “특히 올해 추석 연휴 기간 중 10월 2일 임시공휴일 선포를 통해 내수 진작을 위한 배려에 나서겠다”고 약속했다.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