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증오·대립 끝내는 통합"…말보단 실천이 중요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애국의 역사를 존중하고 지키겠다.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공헌하신 분들께서 대한민국을 통합하는 데 앞장서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열린 제62주년 현충일 추념식에서 “전쟁의 경험을 통치의 수단으로 삼았던 이념의 정치, 편 가르기 정치를 청산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 나라의 증오와 대립, 세대 갈등을 끝내주실 분들도 애국으로 한평생 살아온 여러분들”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추념사에서 ‘애국’이라는 단어를 22차례나 언급했다. 호국보훈의 날인 현충일 추념사에서 ‘애국’을 강조한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문 대통령은 이를 우리 사회의 이념적 갈등과 정치적 편 가르기를 극복하고 통합으로 나가는 키워드로 삼았다. 좌우 진영 모두를 애국의 주체로 적시해 탈이념과 탈정치의 통합을 이루겠다는 의지가 추념사 곳곳에서 나타난다. 이를 위해 보훈을 국민통합을 이루는 주요 국정 기조로 삼으며 국가보훈처의 위상을 장관급 기구로 격상하고 역할을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의 이 같은 국민통합의 국정 기조에는 반대가 있을 수 없다. 관건은 균형감 있는 실천이다. 문 대통령이 이날 국민통합을 강조할 정도로 이념적·정치적 갈등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최대 현안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5·9 대통령선거까지 이어진 일련의 과정을 겪었지만 이런 갈등 구조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도, 바뀌지도 않고 있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이다.

문 대통령의 말처럼 대한민국 공동체는 보수와 진보로 나눌 수도 없고 나뉘지도 않는 ‘온전한 대한민국’이어야 한다. 보수와 진보 어느 쪽도 상대를 배제하지 않는 한 덩어리가 되는 데서 출발해야 대한민국이 진정 강한 국가로 거듭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지난 대선에서의 유권자들의 선택의 의미이고 시대 정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