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빌게이츠도 반한 'LG화학 소아마비 백신'

"R&D 역량·품질 원더풀"

재단서 개발비 140억 지원

2020년 글로벌 시장 공급

LG화학 대전기술연구원 연구원들이 백신 평가를 위한 분석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LG화학 대전기술연구원 연구원들이 백신 평가를 위한 분석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LG화학




국내 기업이 개발한 소아마비 백신이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아 빌게이츠재단으로부터 약 140억원의 지원금을 받게 됐다.


LG화학은 미국 ‘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으로부터 신규 소아마비 백신 개발을 위한 1,260만달러(약 140억원)의 자금을 지원받게 됐다고 7일 밝혔다.

LG화학은 지난 2014년부터 소아마비 바이러스의 감염력을 없애는 새로운 ‘불활화 백신(inactivated vaccine)’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임상 2상을 준비 중이다. 회사 측은 이번 지원금을 백신의 해외 임상시험과 충북 오송 백신 전용 공장의 생산설비 확장에 사용할 방침이다.


불활화 백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 중인 소아마비 바이러스 박멸 정책에 따라 기존 경구용 백신을 대체,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불활화 백신은 경구용과 달리 백신 유래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따른 소아마비 발병이 일어나는 위험도 없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생산기술의 난도가 높고 국제 규격에 부합하는 생산시설 확보가 쉽지 않아 공급 가능 업체가 몇 곳에 불과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모든 나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소아마비 백신을 조속히 상용화함으로써 인류의 소아마비 바이러스 퇴치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화학이 개발하는 백신은 오는 2020년 세계보건기구의 평가를 받은 후 국내 오송 공장에서 생산해 글로벌 시장에 본격적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한편 LG화학은 1996년 국내 최초로 유전자 재조합 B형간염 백신(유박스)을 개발해 백신 수출의 발판을 마련한 바 있다. 이후로도 뇌수막염 백신의 국산화에 성공했으며 특히 자체 개발한 5가 혼합 백신(유펜타)이 지난해 말 유니세프(UNICEF)의 2017년~2019년 정규 입찰에서 8,100만달러를 수주하며 품질 우수성과 글로벌 공급 능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