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벤처금융, 성장금융 통합 두고 금융 중기부처 갈등

중기 “벤처 생애 맞춤형 투자 가능” VS 금융 “‘모험자본’ 오히려 줄어들 것”

정부가 추진하는 한국벤처투자와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의 통합에 대해 중기업계와 금융업계가 확연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중소기업청과 중기업계는 두 기관의 통합으로 벤처에 대한 ‘생애 맞춤형’ 지원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의 지원이 창업 단계에만 쏠려 ‘출산만 돕고 양육은 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온 만큼 창업 ‘데스밸리(창업 3~7년차)’를 극복할 길을 이참에 마련하자는 것이다. 벤처투자와 성장금융이 통합될 경우 모태펀드(벤처투자) 2조6,182억원과 성장사다리펀드(성장금융) 1조8,500억원을 합한 4조4,682억원을 가진 대형 투자기관이 탄생한다. 두 기관이 관여하고 있는 자금 규모만 민간까지 합쳐 18조원이다.


그러나 금융위원회를 비롯해 금융투자업계는 ‘역효과만 낳을 것’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창업을 활성화한다면서 정작 민간자본을 정부 예산 안에 포함해 투자를 경직시키는 우를 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성장금융펀드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조성한 반도체펀드 750억원도 포함돼 있다. 벤처투자는 정부 예산이 바탕이지만 성장금융은 민간 자본인 은행과 기업이 돈줄이다. 정부 예산은 감시를 받는 만큼 모험자본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불가능해진다는 것이다. 또 다른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반대로 선심성으로 예산 퍼주기를 하면 돈을 댄 은행의 건전성은 악화된다”며 “근본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법적인 문제도 걸림돌이다. 벤처투자는 벤처특별법과 중소기업창업지원법이 적용되는 반면 성장금융은 자본시장법을 따르기 때문에 각각의 적용법이 상충할 수 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