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BPA, 부산항 항만운영시설 예부선계류지 조정한다

부산항만공사가 부산항 내 예부선계류지를 조정한다. 영도 봉래동 물량장과 동삼동 청학안벽이 적정수용능력을 넘어선데 따른 것이다. 현재 부산항 영도 봉래동 예부선 계류지 현황./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부산항만공사가 부산항 내 예부선계류지를 조정한다. 영도 봉래동 물량장과 동삼동 청학안벽이 적정수용능력을 넘어선데 따른 것이다. 현재 부산항 영도 봉래동 예부선 계류지 현황./사진제공=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BPA)는 부산항 내 예부선계류지를 조정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부산항 내 예부선계류지인 영도 봉래동 물량장(적정수용 70척)과 동삼동 청학안벽(적정수용 20척)의 적정수용능력인 90척을 훌쩍 넘은 178척이 계류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BPA가 추진 중인 예부선계류지 조정계획은 현재 계류 중인 예부선이 예부선계류지 수용 능력의 198%를 초과해 항로 침범으로 인한 선박사고의 위험이 남아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예부선의 종류별로 부산항 내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하는 것이 골자다. 다대포항 일원에 일반평부선, 영도청학안벽에 일반 및 건설기계장비, 감천항 동방파제에 건설기계장비, 신항 웅동배후단지 호안에 일반평부선, 북항재개발사업에 일부부선 등을 수용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BPA는 특히 신항 웅동배후단지 호안에는 예상되는 신항 건설 수요에 필요한 부선계류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BPA 관계자는 “항만에서 예선과 부선(예부선)은 항만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항만운송수단이듯이 예부선계류지도 항만운영에 필수적인 항만시설”이라며 “예부선계류지가 조정되면 부산항 내에서 해당 지역별로 선박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원활한 신항 건설을 지원하는 효과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항만공사는 지난해 2월 남구 남화동 전면 해상에 289억원의 예산을 들어 1만6,000㎡ 규모의 남화물량장을 조성, 울산항에 산재해 있던 예부선을 수용해 안전사고를 미리에 방지한 바 있다./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