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치매 걸린 복제돼지' 토종기술로 만들었다

제주대 연구팀 '제누피그' 첫 개발

발병 관여 3개 유전자 모두 이식

치매 치료제 연구개발에 청신호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이식해 만든 치매 복제돼지 ‘제누피그’/사진제공=제주대학교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이식해 만든 치매 복제돼지 ‘제누피그’/사진제공=제주대학교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유전자를 이식해 ‘치매 복제돼지’를 만들어 내는 쾌거를 달성했다. 치매 발병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모두 이식한 복제 돼지는 이번이 세계 처음이다.

제주대학교 줄기세포연구센터 박세필·이승은 연구팀은 사람에게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 3개 유전자(APP, Tau, PSI)를 모두 가진 체세포 복제돼지 ‘제누피그’의 생산 기술을 특허 출원했다고 8일 밝혔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에서 증가할 때 발생한다. 단백질 농도가 높아지면 뇌의 신경세포가 파괴되면서 기억장애나 언어장애 등이 일어나는 것이다.

관련기사



그동안 치매 신약의 효능을 검정하는 데 설치류 모델이 활용됐으나 인간과 생리학적·내분비학적 편차가 커서 신뢰도가 낮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때문에 사람과 가장 유사한 생리학적 구조를 가진 돼지가 전임상 대체 동물로 유력시됐다.

국제적으로 개발에 성공한 복제돼지로는 다국적 제약사 얀센이 보고한 게 전부다. 하지만 얀센의 복제 돼지는 단 한 개의 치매 유전자(APP)만 이식돼 신뢰도에 한계가 있었다. 반면 제누피그는 3개 유전자를 모두 복제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 교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된 3개의 유전자가 동시에 발현되는 치매 돼지를 토종 기술로 만들었다는 데 상당한 의미가 있다”면서 “향후 치매 치료제 개발과 약리 효과 분석 등에 유용하게 이용된다면 경제적·산업적으로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