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브렉시트 응징’ EU, 런던 유로화 청산소 이전 검토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왼쪽) EU 집행위 부위원장 등 집행위 위원들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브뤼셀=EPA연합뉴스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왼쪽) EU 집행위 부위원장 등 집행위 위원들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브뤼셀=EPA연합뉴스


유럽연합(EU)이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이후 영국 런던의 유로화 거래 청산 기능을 유럽 대륙으로 이동하는 법안을 13일(현지시간) 내놓는다.

유로화 거래 청산소는 주식과 파생상품 등의 거래에서 매수자나 매도자 중 한쪽이 파산하더라도 거래를 보장하는 것으로 금융특구인 런던 ‘시티’가 국제 금융의 허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한 축을 맡고 있다.


EU 집행위원회의 발디스 돔브로브스키스 부위원장이 발표할 법안은 브렉시트 이후 런던이 유로화 거래 청산소를 유지할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AFP 통신 등이 이날 보도했다.

이는 브렉시트 협상이 조만간 개시되면서 EU가 영국을 압박하고 실리를 취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런던에서는 유로화로 표시된 전 세계 파생상품의 4분의 3이 거래되고 있으며, 하루 거래 규모가 8천500억 유로(1,723조 원)에 달할 정도여서 프랑스 파리와 독일 프랑크푸르트 등이 유로화 청산 기능을 노려왔다.

관련기사



유럽중앙은행(ECB)이 유로화 표시 금융상품 점유율이 5% 이상일 경우 유로존 안에 청산소를 두도록 하는 규제를 두자, 영국이 이를 법정으로 끌고 가 승리한 바 있다.

유로화 거래 청산 기능을 놓고 EU 국가와 영국 간의 치열한 로비전이 벌어지는 가운데, EU는 지난달 영국이 유로화 청산 기능을 유지하는 대신에 EU의 통제가 가해지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도 했다.

유로화 거래 청산소를 관리하는 런던증권거래소는 청산 기능의 이전이 런던의 금융 비즈니스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나타내왔다. 국제스와프파생상품협회(ISDA)는 돔브로브스키스 부위원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유럽 대륙으로의 기능 이전이 상당한 금융 비용의 증가를 수반한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런던의 로비리스트들은 청산소의 이전이 뉴욕 월스트리트나 아시아에 이득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런던 금융계를 대변하는 더시티유케이의 마일스 셀릭 회장은 “상당히 해롭고 누구에게도 이익을 가져다주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