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故 백남기 농민 사인 외인사, 백선하 교수 "가족이 적극적 치료 원하지 않아"




故 백남기 농민 사인 외인사, 백선하 교수 故 백남기 농민 사인 외인사, 백선하 교수 "가족이 적극적 치료 원하지 않아"


고(故) 백남기 농민의 사인이 외인사로 변경되면서 과거 주치의였던 백선하 교수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15일 서울대병원측이 고(故) 백남기 농민의 사인을 '병사'에서 ‘외인사’로 바꾼것으로 알려지면서 앞서 고인의 사인을 ‘급성신부전에 의한 심폐 정지’라 명시했던 백선하 서울대학교병원 교수에 대한 관심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집회 도중 경찰이 쏜 물대포에 맞아 쓰러졌던 백남기 농민은 지난 2016년 9월 서울대병원에서 317일 동안 입원했으나 끝내 사망한 바 있다.


이후 백남기 농민의 주치의였던 백선하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백남기 농민의 사인을 병사로 기록하면서 유가족과 시민단체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관련기사



백선하 교수는 지난 10월 11일 열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도 출석해 “백남기 씨가 사망에 이르게 된 직접 원인은 급성신부전에 의한 고칼륨증, 심장정지”라는 증언을 했는데, “백남기 씨의 가족이 적극적인 치료를 원하지 않아 체외 투석 등의 치료를 시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망 종류를 병사로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았는데 사망에 이르렀다면 사망진단서 내용이 달라졌을 것”이라며 “일부 진료만 참여한 의료인이나 참여한 적이 없는 의료인은 모든 과정을 주치의만큼 알지 못한다”고 말한 백 교수는 지난해 11월 결국 신경외과 과장직에서 보직 해임되기도 했다.

한편 경찰은 당시 영장을 통한 시신부검까지 시도했으나, 유족과 시민단체가 부검을 허용하지 않은 바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김경민 기자 kkm2619@sedaily.com

김경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