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에어부산, 빅데이터 업무 적용부터 VR 장비 도입까지…4차 산업사회 대비 ‘순항’ 중

빅데이터 분석 자료 활용해 기내 면세품 탑재…연간 2,200만 원 유류비 절감

비행자료분석 데이터, 가상현실 장비로 안전운항 능력 강화

에어부산 운항승무원이 FOQA(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를 통해 분석한 자료를 참고하고 있다./사진제공=에어부산에어부산 운항승무원이 FOQA(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를 통해 분석한 자료를 참고하고 있다./사진제공=에어부산




에어부산이 빅데이터를 통한 업무 변화를 업무에 적용하며 본격적으로 4차 산업사회 진입을 위한 준비에 나섰다.


20일 에어부산에 따르면 에어부산은 지난 5월 말부터 기내 면세품 탑재 및 판매에 빅데이터를 활용해 탄력적 운영에 나섰다. 해당 빅데이터는 지난해 국제선 전 항공편의 면세품 탑재·판매 정보를 모두 데이터화해 분석한 자료이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노선과 계절에 따라 손님들의 면세품 선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에 따라 4가지 타입으로 분류, 각각의 타입에 최적화된 면세품을 탑재해 판매를 시작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이번 빅데이터에 따른 면세 물품 조정을 통해 판매 수익은 유지하면서 연간 2,200만 원 이상의 연료비 절감 효과를 볼 것”이라 말했다.

관련기사



에어부산은 올해 금호아시아나 그룹의 경영방침인 ‘4차 산업사회 선도’에 따라 4차 산업사회 진입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지난 1월 IT 전략팀을 신설하고 전 분야의 팀원들로 구성된 4차 산업 관련 테스크 포스팀(TFT)을 발족해 4차 산업사회에 대한 준비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운항, 캐빈, 영업, 마케팅 등 전 분야를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안전 운항에 관한 일부 사안은 실질적 실행 계획을 수립해 현재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 FOQA(Flight Operational Quality Assurance·비행자료 분석 프로그램)를 통해 산출된 모든 정보를 빅데이터화해 공항별, 노선별, 계절별 특성 등으로 분석, 도출된 운항 정보들을 운항승무원의 교육, 훈련에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 운항승무원과 캐빈승무원 훈련에 VR(Virtual Reality·가상현실) 장비를 도입할 계획이다. VR 장비를 활용한 운항승무원 훈련은 국적 항공사 중 처음으로 시도하는 것으로 난기류, 돌풍 등 상황별 장면을 VR 영상으로 제작한 자료를 훈련에 활용함으로써 현장감이 있는 훈련을 통해 직원들의 대처능력을 키운다는 방침이다. 한태근 에어부산 사장은 “에어부산은 4차 산업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라며 “현재 실행 중인 사안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고 적용 가능한 다른 사안들도 이른 시일 내에 실행에 옮겨 미래 변화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항공사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