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검찰 ‘제보조작’ 무더기 소환… 안철수·박지원으로 칼끝 향하나

이준서·김인원·김성호 등 국민의 당 관계자 내일 소환

'윗선’수사 신호탄 분석... ' 언제 조작 사실 알았나’ 물을듯

안철수(왼쪽) 전 국민의당 대표가 국민의당 창당을 준비 중이던 지난 2016년 1월 15일 30대 벤처 창업가인 이준서씨를 영입한 뒤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안철수 트위터 자료=연합뉴스안철수(왼쪽) 전 국민의당 대표가 국민의당 창당을 준비 중이던 지난 2016년 1월 15일 30대 벤처 창업가인 이준서씨를 영입한 뒤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안철수 트위터 자료=연합뉴스


검찰이 문재인 대통령 아들을 대상으로 한 ‘취업 특혜 의혹 제보조작’ 범행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 국민의당 이준서 전 최고위원과 대선 당시 공명선거추진단 김성호 수석부단장, 김인원 부단장 등 국민의당 관계자들을 3일 무더기로 소환해 조사한다. 이번 소환조사가 이번 범행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의심을 받고 있는 국민의당 ‘윗선’을 향한 검찰 수사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만큼 검찰의 최종 칼끝이 안철수 전 대선주자와 박지원 전 대표를 겨냥할 지 주목된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남부지검 공안부(강정석 부장검사)는 피의자 신분인 이 전 최고위원에게 3일 오전 검찰에 출석하라고 통보했다고 2일 밝혔다. 또 피고발인 신분인 김성호 전 수석부단장, 김인원 전 부단장에게도 3일 오후 출석하라고 통보했다. 검찰은 폭로에 앞장선 이용주 의원에 대한 소환 조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최고위원은 지난 대선 당시 당원 이유미(구속)씨로부터 문 대통령 아들 준용씨의 한국고용정보원 입사 특혜 의혹을 뒷받침하는 조작된 육성 증언 파일과 카카오톡 캡처 화면을 건네 받은 뒤 공명선거추진단 관계자들에게 건넨 혐의(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를 받고 있다.


김 전 수석부단장과 김 전 부단장은 해당 제보를 이 전 최고위원으로부터 넘겨받은 만큼 조작 행위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은 전날까지 이씨와 이 전 최고위원의 주거지 등에서 확보한 컴퓨터 하드디스크, 휴대전화 등 압수물과 통화내역을 분석해 이 전 최고위원이 이씨의 조작 범행을 종용했거나 혹은 이를 알고도 묵인했을 개연성을 보여주는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특히 검찰은 대선 전날인 5월 8일 이 전 최고위원과 이씨가 나눈 카카오톡 대화 내용에 주목하고 있다. 이씨는 이 전 최고위원에게 “사실대로 모든 걸 말하면 국민의당은 망하는 거라고 하셔서 아무 말도 못하겠어요”, “지금이라도 밝히고 사과드리는 것이 낫지 않을까 백번도 넘게 생각하는데 안된다 하시니 미치겠어요” 등의 메시지를 보냈다. 이 때문에 검찰은 이 전 최고위원이 제보를 조작하지는 않았더라도 최소한 해당 제보가 조작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대 관심사는 검찰 수사의 칼끝이 안철수 전 대표와 박지원 전 대표로 향할 지 여부다. 이번 조작 사건의 당내 진상조사단장을 맡은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은 지난 29일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 (의혹 발표 전인) 5월 1일 이유미의 카톡 제보를 박지원 전 대표에게 바이버 문자로 보냈다고 진술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저희가 확인한 바로는 박 전 대표가 5월 5일 언론으로 의혹이 발표되기 이전에 이 부분을(당시 문자 내용) 인지하지 못한 것 아닌가(싶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이 전 최고위원은 당원 이유미 씨로부터 입수한 카카오톡 대화 캡처화면 제보를 5월 1일 오후 4시 32분부터 바이버 문자 5개로 나눠 박 전 대표에게 전송했다.

그러나 당시 박 전 대표는 바이어 문자가 전송된 전화기를 갖고 있지 않았고 내용도 확인하지 않았다는 것이 박 전 대표측의 설명이다. 바이버 메신저가 설치된 전화기는 끝자리 0615번으로 박 전 대표의 비서관이 휴대해왔고 박 전 대표는 번호 끝자리가 6333으로 끝나는 휴대전화 갖고 다녔다는 것이다.

이처럼 검찰 칼끝이 국민의당 지도부를 향하면서 박 전 대표가 이번 의혹에 대해 적극 해명하는 것과 달리 안 전 대표는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안 전 대표측은 ‘문준용 의혹제보 조작’ 파문과 관련한 당 진상조사단의 조사에 대해 “대면조사보다는 전화조사로 진행하자”고 요청한 것으로 1일 알려졌다. /정순구기자 soon9@sedail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