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적당한 불편과 안전의 가치

조수행 한국공항공사 안전보안본부장

조수행 한국공항공사 안전보안본부장




자고 일어나면 전 세계에서 발생한 테러 관련 뉴스를 접하면서 하루를 시작하는 불안한 세상이 이어지고 있다. 테러발생 장소, 테러의 형식과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불특정 다수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이른바 ‘소프트타깃 테러’가 잇따르고 있어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는 일반인들을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


국내도 테러의 안전지대라고만 할 수는 없다. 공항·역·터미널 등 다중이용시설은 테러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특히 공항은 테러범들의 입국경로 중 하나이고 테러범이 타깃으로 하는 대표적인 장소다. 우리 정부도 올해 4월부터 외국 출발지 공항에서 탑승자 정보를 사전 분석해 테러 위험인물의 입국을 차단하는 ‘항공기 탑승자 사전확인제도’를 국내 취항 모든 항공편에서 시행하고 있다. 국제선의 경우 여권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지만 테러범 등 위험인물들의 경우 도난이나 분실된 여권을 위조해 국내로 입국할 수 있어 철저한 확인 절차도 필요하다.

관련기사



정부는 올 7월1일부터 전국 14개 공항의 국내선 항공편을 이용할 때도 반드시 국가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제시해야만 탑승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강화했다. 제도 강화 전에도 신분증 소지는 필수였으나 국내선의 경우 신분증 미소지 승객이 발생하더라도 공항 경찰대의 신원확인 절차를 거쳐 제한적으로 탑승을 허용했다. 하지만 7월부터는 신분증이 없으면 국내선 항공이용이 불가능하다. 국내 공항 항공편의 신분확인 강화 절차는 날로 심화하는 테러 위험에 대비한 조처로 탑승객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치다.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탈 때는 안전띠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고 도로에서는 규정 속도를 준수해야 하는 것처럼 안전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안전 분야에서는 작은 불편 감수가 생명보호와 직결돼 있다. 국내선 항공편 탑승 시 신분증 지참 역시 ‘적당한 불편’ 정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사소한 불편을 감수하면 나와 우리 사회의 안전보호라는 커다란 가치를 모두가 공유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항공편 탑승 시 이용객들이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는 작은 실천에 적극 동참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