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복날=삼계탕’ 공식 깨지나

이마트 지난해 여름매출

장어 등 수산 보양식 11% ↑

닭 비중 60% → 50%대로

복날 대표 보양식으로 꼽혔던 삼계탕 선호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연초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에 식습관이 다변화되면서 그 빈 자리를 장어·전복·낙지 등 수산 보양식이 채우고 있다.

6일 이마트(139480)에 따르면 지난해 6~8월 이마트에서 판매된 대표 보양식재료 5종(닭·오리·장어·전복·낙지)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2015년 같은 기간 63.3%를 차지했던 닭의 매출 비중이 59.8%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장어와 낙지 등 수산 보양식재료는 매출이 11.5% 증가하며 비중이 3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져 일찍 찾아온 더위에 보양식 수요가 크게 늘어났던 지난 6월에는 닭 매출 비중은 54.0%까지 떨어졌다.


반면 전복과 문어 등 수산물을 넣어 먹는 해신탕과 낙지가 주재료인 연포탕 등 수산 보양식재료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해 지난달에 40.6%까지 올라섰다. 특히 손질된 상태로 집에서 손쉽게 구워먹을 수 있는 장어의 경우 지난달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73.2% 증가하는 등 간편 보양식의 대표주자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기사



음식점에서도 삼계탕의 인기가 시들해 지고 있다. 실제 호텔업계는 여름철 보양식 메뉴로 장어와 민어 요리를 대거 선보이고 있다.

최훈학 이마트 팀장은 “복날 삼계탕 일색이던 보양식 수요가 장어, 전복 등 수산 보양식재료를 중심으로 다양해지는 추세다”라고 말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