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IRP 실가입자만 받아라”… 깡통계좌 경계령



[앵커]

가입대상 확대로 730만명이 새로 유입되는 개인퇴직연금 IRP시장은 하반기 은행권의 최대 영업 격전지로 꼽힙니다.


은행에 따라 사전예약과 영업 실적 할당 등 고객 유치 경쟁에 돌입하고 있는데요.

고객 확보를 위해 애쓰는 모습은 지난해 ISA때와 비슷하긴 한데, 깡통계좌가 큰 문제가 됐던 터라 실가입자 확보에 초점을 맞추는 모습입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오는 26일 IRP 가입대상 확대로 730만명에 달하는 예비 고객을 얻게 된 은행권이 사전예약과 영업실적 할당 등 고객 유치 경쟁에 돌입했습니다.

다만 지난해 ISA 출시 때 자동차와 골드바 등 고가 경품 경쟁과 지나친 직원 할당 등으로 홍역을 치른 터라 전반적으로 지나친 영업은 자제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럼에도 은행 창구 직원들 사이에서는 IRP가 ISA보다 더 두렵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할당 기준이 계좌수에서 금액으로 바뀐 탓입니다.


지난해 3월 ISA 출시 때는 은행에 따라 직원당 100좌 이상의 할당이 떨어졌지만, 올해 IRP는 수백만원의 신규 금액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관련기사



건수로는 ISA때보다 10분의 1을 하더라도 100만원 이상 적극적인 가입의사를 가진 고객을 찾아야 해 직원들이 더 어렵게 느끼는 겁니다.

은행들은 영업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IRP를 필요로 하는 실가입자를 받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합니다.

좌수만 채우려 지인들에게 부탁해 1만원 안팎의 깡통계좌만 늘렸던 ISA 때를 반면교사한 셈입니다.

한 은행 관계자는 “ISA때는 시장선점차원에서 좌수를 중요시 한 측면이 있었다”며 “이번 IRP는 지난번(ISA때)처럼 강한 영업 압박보다는 실제 필요한 고객이 가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민 재산 불리기 프로젝트로 시작한 ISA의 경우 깡통계좌의 후유증으로 재태크의 의미를 상실했습니다.

최근까지도 남은 계좌의 절반 이상이 1만원 이하의 깡통 계좌들이고, 10만 원 이하가 73%에 달합니다.

한편 금액 기준 영업 할당에 대한 우려도 없진 않습니다.

자칫 분위기가 과열돼 압박감이 심해질 경우 직원들이 개인 돈으로 할당량을 메우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