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류석춘 혁신위원장, 박근혜 억울함-정치적 탄핵 거론 '파문'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이 일성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관련해 박 전 대통령의 억울함과 정치적 탄핵을 정면으로 거론하고 나서, 파문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은 그간 박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해선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당안팎에선 보수 혁신을 내세워 새로 출범한 홍준표 체제의 핵심격인 혁신위원회 위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탄핵 과정을 총체적으로 비판하며 박 전 대통령을 사실상 공개적으로 두둔하고 나섬에 따라, 혁신위가 가동되기도 전에 여론의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만 커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류 위원장은 11일 여의도 당사 기자회견에서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박 전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실패했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실제 저지른 잘못보다 너무 과한 정치적 보복을 당한 것 아니냐는 생각도 한다”고 밝혔다.

류 위원장은 이어 “그 과정에서 자유한국당과 전신인 새누리당이 얼마나 잘했느냐 문제를 따져보면 일방적으로 박 전 대통령에게 출당조치를 하는 것은 시체에 칼질하는 것”이라며 “그렇게는 할 수 없다”고 전했다.

그는 또 “태극기 집회에 참여한 사람들은 박 전 대통령 탄핵이 억울하다고 생각하고, 저 또한 그렇다”며 “실체가 없기 때문이다. 뇌물죄로 엮으려고 하는데 엮이지가 않아서 검찰이 엄청나게 고생하고 있고, 이것이 실체”라고도 언급했다.

이어 “법으로 들어가면 (박 전 대통령이) 무엇을 어겼는지 명확하지 않다”며 “정치적인 탄핵이고, 정치형은 굉장히 억울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탄핵의 본질에 대해선 “정치적 실패다. 총체적 결정을 할 대통령이 그런 일을 잘 못해서 겪은 일”이라면서도 “예컨대 대통령이 태반주사를 맞은 게 법적 문제인가, 그런데 그런 것을 가지고 야당과 여당 일부에서 공격을 엄청나게 했고 그것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대통령이 져야 한다”고 전했다


류 위원장은 이어진 ‘탄핵이 국정운영 실패에 비해서 지는 책임이 과하다는 것이냐’는 질문에도 그렇다고 전제한 뒤 “국정농단은 농단한 사람을 전제하는 것인데, 농단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언론이 다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우리나라 언론이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이명박 전 대통령 당시 광우병 파동을 언급하며 “광우병 사태를 초등학생까지 끌고나와 대통령 하야하라는 이야기까지 나왔다”면서 “이것 비슷하게 진행된 게 박 전 대통령 탄핵 과정이고, 허무맹랑한 주장에 동조한 집권 여당과 관련 부서 책임자, 청와대 책임자, 언론사가 다 문제”라고까지 전해싿.

이어 그는 또 “박 전 대통령을 당선시킨 정당이 탄핵에 앞장선 것을 대단히 양심적인 일을 한 것으로 치켜세우는 것은 잘못”이라며 “탄핵한 (자유한국당의 전신) 새누리당의 모습은 지리멸렬이고 그것을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당내에서 제기되는 친박 청산 문제에 대해선 충분한 논의를 거치겠다며 즉답을 피하면서 “인적 쇄신의 요체는 무엇이 더 결정적인지 따져봐야 한다”며 박 전 대통령과 친박 진영을 사실상 두둔하는 듯한 해석의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류 위원장은 “나 스스로는 태극기 집회를 매주 열심히 나갔다”면서 “촛불집회는 (지난해) 12월 중순부터 태극기 집회 숫자에 압도됐는데, 언론이 사실 보도를 안 했다”며 거듭 언론 보도를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다.

당내에서는 한국당 혁신을 통해 박 전 대통령 탄핵 과정을 거치며 궤멸하다시피 한 보수 진영을 재건하는 책임을 지게 된 혁신위원장이 ‘정치적 탄핵’을 공개적으로 주장하고 나서자 곤혹스러운 분위기가 있었다. 가치관을 포함한 근본적 자질 논란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날 류 위원장의 언론 인터뷰를 거론하며 “혁신위원장이 먼저 언급하는 것은 결코 좋은 인상을 받지 못한다”면서 “혁신위도 구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여러 언급을 하는 것은 자제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에둘러 비판하고 나섰다.

근본적 가치관을 포함해 류 위원장의 자질 논란도 불거질 예정이다.

한 재선 의원은 “박 전 대통령 문제에 대해 우리 당에서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이 누가 있겠냐 싶지만, 국민의 인식과 같이 가야 하는 문제”라며 “그런 식으로 대한민국 사법체계를 다 부정하는 식으로 말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