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후쿠시마 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 제거 관련 특허출원 급증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을 없애기 위한 흡착제 관련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해 방사성 물질 제거 흡착제 관련 기술 특허 출원 건수는 15건으로 2015년(8건)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올해 1~4월 중에만 6건이 출원돼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흡착제 관련 특허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급증했다. 2010년 관련 특허는 단 한 건뿐이었지만 사고가 일어난 2011년 4건, 2012년 5건을 기록한 뒤 2013~2014년 매년 11건씩 기록했다.


2010년부터 지난 4월까지 출원된 61건 대부분 국내 기업·기관이 제출했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전체의 21%(13건)를 차지했다. 경북대와 안동대가 각각 7건, 3건을 출원했는데 원전이 있는 경북 울진 등 지역에서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방사성 원소 중에서는 세슘에 대한 흡착 기술이 전체 출원의 56%에 달했다. 세슘은 반감기가 30년에 이르고, 사람의 장기와 근육에 쉽게 축적돼 각종 질병을 유발한다.

과거에는 세슘 흡착제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됐지만 최근에는 흡착용 물질의 성능을 개량하는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