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독서는 번아웃 해소를 위한 고효율 저비용 해법이죠"

"내 몸이 보내는 신호 알아채고 번아웃 잡아야"

도서관協 '찾아가는 직장인 인문학' 강좌

최옥정 작가 순천 삼산도서관서 26일 특강



“컨베이어벨트 같은 반복되는 일상을 버티는 직장인들은 번아웃 증상을 자각하기 어려워요. 이번 강의에서 각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자기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는 26일 순천 삼산도서관에서 순천시청 직원과 시민을 위한 ‘찾아가는 직장인 인문학’ 강의를 하게 되는 최옥정(사진) 작가는 번아웃 증상이 심각해도 알아차리기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는 직장인일수록 자신의 몸이 보내는 신호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찾아가는 직장인 인문학’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가 주관하는 직장인을 위한 인문학 강연 프로젝트로 올해로 2회째다.


최 작가는 “누구나 한번 쯤 심각하게 자신의 에너지가 완전히 소진되었음을 절감하는 때가 있다”면서 “특별한 증상도 없고 병명도 받지 못한 채로 아프고, 아픈 자신을 못 낫다고 자책하면서 일상을 이어간다. 바로 번아웃 증상의 초기인데 이때 자신을 유심히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출간한 에세이 ‘삶의 마지막 순간에 보이는 것들’을 쓰면서 삶과 죽음에 대한 탐구 그리고 번아웃 증상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관련기사



최 작가는 독일의 학술기자인 크리스티나 베른트의 ‘번아웃(시공사 펴냄)을 읽고 현대인의 몸과 마음에 적신호가 켜진 이유를 번아웃에서 찾았다. 최 작가는 “과로한 상태일 때 말이 많아지고, 술도 더 많이 마시게 된다. 또 아이들의 경우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할 때 자극적인 음식을 찾게 되고 정서가 불안해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신체에 과부하 시스템이 작동을 하면 쾌락중추에도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바로 번아웃 초기증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그러나 우리는 언제나 바쁘다는 핑계로 몸을 뒷전에 두고 다른 일을 하는 걸 당연하게 생각한다”면서 “몸이 어떤 사인을 보낼 때는 무시하고선 병명을 받아들고선 수습하려고 한다”면서 “할 일을 자꾸 미루거나, 옛날에는 이렇지 않았는데 하는 생각을 자주 하거나, 의욕은 넘치는 데 에너지는 고갈되어있다고 느낀다면 바로 번아웃이 시작되고 있다는 신호다. 시간과 비용 그리고 마음의 상처가 커지기 전에 체했을 때 바늘로 손을 따듯이 자신의 몸을 보살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가 권하는 번아웃 증상 해소법은 의외로 간단한다. 등산·낚시·여행 등 취미활동이다. 그 중에서 독서를 으뜸으로 꼽는 최 작가는 “독서는 만원의 행복으로 번아웃을 해소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 해법”이라면서 “책 읽으라고 하면 구닥다리 같은 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독서는 낮 동안 과도하게 썼던 양(陽)의 에너지를 음(陰)의 에너지로 바꾸면서 몸에 밸런스를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책 속에서 내 주변 사람들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읽을 수 있고, 공감하면서 자신을 되돌아보게 된다”면서 “책 읽는 습관이 든 사람들은 과로·과식 등 과도한 탐닉에 노출되지 않고 절제하는 법을 익히게 된다. 바로 생활 속 인문학을 터득하면서 번아웃 증상도 해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찾아가는 직장인 인문학’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전국 도서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시민 인문학 프로젝트인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의 일환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독서경영우수기업과 여가친화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중 올해는 24개 곳을 찾아가 상상력, 치유와 힐링, 문학과 여행 등을 주제로 각 분야 전문가들이 강의를 풀어낸다./장선화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장선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