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평창대관령음악제 18일부터 내달 8일까지 열려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일대서

올해 주제는 '볼가강의 노래'

장엄한 러시아 선율 수놓아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참여

올림픽 성공 기원 한중일 콘서트도

대관령에 클래식의 선율을 더해 환상적인 한여름의 분위기를 만들어 온 ‘평창대관령음악제(예술감독 정명화·정경화)’가 오는 18일부터 내달 8일까지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와 강원도 일대에서 펼쳐진다. 이 음악제의 대표 프로그램인 저명 연주가 시리즈는 오는 26일부터 내달 6일까지 진행된다. 올해의 주제는 ‘Great Russian Masters, 볼가강의 노래’로 지난 2013년 북유럽을 시작으로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오스트리아 등 지역 중심 주제를 선정해 온 음악제가 클래식 음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역 중 하나인 러시아를 마지막 주제 지역으로 정했다.




마린스키 오케스트라마린스키 오케스트라


음악제의 하이라이트인 저명연주가 시리즈에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거장들이 총출동하는 화려한 라인업을 자랑한다. 세계적 명성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오케스트라와 오페라단이 조르벡 구가에브의 지휘 아래, 알펜시아 뮤직텐트에서 두 번의 연주회를 개최하며 음악제에 처음 참여한다.

또 주목할 만한 공연은 프로코피예프의 오페라 ‘세 개의 오렌지의 사랑’으로 음악회 형식으로 선보인다. 한국 초연으로 진행되는 이번 공연은 멜랑콜리했던 왕자가 사랑을 찾아 환상적인 마법 여행을 떠나게 되면서 아름다운 공주와 사랑을 찾게 된다는 내용을 담았다. 70여명의 마린스키 오케스트라가 연주하고, 14명의 마린스키 오페라단 주역들이 출연하며, 국립합창단이 코러스를 맡는다.

보로딘 콰르텟보로딘 콰르텟


또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사중주단의 하나인 보로딘 콰르텟은 세 번의 연주를 통해 하이든, 베토벤, 쇼스타코비치의 곡을 들려줄 예정이다. 러시아의 서정성과 정교함, 열정적인 연주로 정평이 난 보로딘 콰르텟은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도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다.


정경화 예술감독(바이올린)과 스티븐 코바체비치(피아노)가 국내 무대에서는 처음으로 협연해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두 아티스트는 지난 1983년 런던 세인트 존스 스미스 스퀘어홀에서 호흡을 맞췄던 인연을 시작으로 자주 해외 공연을 함께 해왔다. 이번 공연에서는 브람스의 소나타를 들려준다. 정명화 예술감독과 첼리스트 로렌스 레써는 포퍼의 ‘레퀴엠’을 연주한다.

관련기사



매년 음악제가 작곡가에게 위촉하는 곡은 올해 김택수와 윌리엄 볼컴(미국), 장폴 페냉(프랑스)에게 맡겨졌다. 김택수는 ‘평창을 위한 팡파르’를, 볼컴은 ‘6중주’를, 페냉은 4개의 손을 위한 피아노곡 ‘카페 푸시킨’을 각각 완성했다.

평창올림픽 개최를 기념해 올림픽을 200일 가량을 앞둔 26일에는 오프닝 콘서트도 연다. 평창올림픽과 함께 2022년 도쿄올림픽·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성공을 기원하는 ‘한·중·일 콘서트’가 바고 그것. 이 무대에는 정경화, 손열음, 김다솔, 박상민, 중국의 완젠, 황훙웨이, 일본의 기시마 마유, 분야 미치노리 등이 참여한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