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식약처, 의약품 부작용 방지 위한 빅데이터 구축 나서

정부가 의약품 이용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신뢰성 있는 의약품 안전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환자전자의무기록(EHR)’을 활용한 ‘부작용 분석 공통데이터모델(CDM)’ 구축을 본격화하는 등 의약품 부작용 분석에 필요한 빅데이터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CDM은 다양한 전자의무기록 양식에 기록된 환자 질병 관련 정보 중 ‘인구통계학적 정보, 진단, 처방약, 시술, 검사결과’ 등 부작용 분석에 필수적인 공통 데이터를 추출하여 표준 모델화 한 것으로 개인정보 유출없이 부작용 분석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정부는 올해 중 중앙대·부산대 등 5개 병원 20만명 환자의 의료 정보를 CDM으로 전환해 추가하고 2022년까지 전국 27개 지역의약품안전센터 200만명 환자의 의료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해 부작용 분석 등에 활용할 방침이다. 식약처는 지난 2016년 서울대병원 등 4개 병원 30만명 환자에 대한 의무기록을 CDM으로 전환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바 있다.

지금까지 의약품과 부작용 사이 인과관계 분석에는 건강보험공단·심사평가원의 보험청구자료 등이 활용돼 왔으나 약물복용과 검사·처치 간의 선후관계 등이 명확하지 않아 정확한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식약처는 “‘CDM’을 활용한 빅데이터가 구축되면 부작용 발생 시 의약품과 부작용간 인과관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약물 복용 후 부작용 발생 등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국민 안전을 확보하고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특정약물이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부작용 등을 분석, 맞춤형 의약품 안전정보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의약품 안전사용 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