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100g 삼겹살·16등분 수박 … 용량 줄이니 매출은 늘었네

쌀·생선·과일서 제습제까지

‘일코노미’에 소포장제품 인기

매출 크게 늘어 최고 9.5배 껑충

‘나혼자수박’은 4만개 이상 팔려

백화점·슈퍼도 소용량 잇단 출시








# 롯데슈퍼가 지난 2월 문정점에서 시범 판매한 ‘보틀 라이스’. 쌀이나 잡곡 등을 투명 플라스틱 용기에 담은 제품으로 1인 가구를 겨냥한 상품이다. 롯데슈퍼는 이 제품이 인기를 끌 자 최근 전국 지점으로 확대해 판매하고 있다.

#이마트에서 지난 5월 출시한 ‘나혼자 수박’은 8~9kg 정도 크기의 수박을 16등분 한 상품이다. 1인 가구를 겨냥한 제품으로 포장 역시 1인용에 맞춘 것이 특징이다. 이 수박은 출시 이후 4만 개 이상 팔리며 인기를 끌고 있다.

‘일코노미(1인가구와 이코노미의 합성어)’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1인 가구를 겨냥한 소포장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간편 포장·소용량 제품 판매량이 갈수록 늘자 온라인업체 뿐만 아니라 전통 유통강자인 백화점과 슈퍼마켓까지 작은 용량의 제품들을 잇달아 내놓는 추세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달 문을 연 극소포장 제품 코너인 ‘한 끼 밥상’의 매출액이 한 달 만에 본점에서만 3,000만원을 기록했다. 이 코너에서는 채소부터 육류까지 100여 개 상품을 기존 중량보다 60∼90% 이상 줄였다. 100g 이하의 고기와 토막 생선을 판다. 채소 가격은 평균 1,000원대, 과일 2,000원대, 소고기 6,000원대, 돼지고기 3,000원대 등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매년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극소포장 상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해당 제품군의 품목 수와 운영 규모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현대백화점(069960) 역시 지난해 1월 친환경 농산물 브랜드인 ‘산들내음’ 포장 세트를 통해 용량을 40%가량 줄인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GS슈퍼마켓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싱글슈머를 위한 소포장 일코노미 상품 판매에 나서고 있다.

소포장 상품을 먼저 선보인 이커머스 업체의 경우 소용량 제품 매출이 크게 늘고 있다. 지마켓에 따르면 이달 소포장 한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00% 증가했다. 1~2인분용 소용량 국수·면 매출도 950% 늘었다. 특히 대용량으로 판매되던 제습제의 경우 2·4개로 소포장해 판매한 결과 이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2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가에 소포장 제품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소형 가구의 증가에 있다. 최근 서울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중은 29.9%에 달한다. 세 가구 중 한 가구는 나홀로 가구인 것이다. 2인 가구(24.9%)까지 합하면 전체 가구 중 1·2인 가구 비중은 절반을 훌쩍 넘는다.

업계 관계자는 “소형 가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젊은 층 중심으로 필요한 양만 구매하는 가치 소비 트렌드의 영향으로 유통가 제품 용량이 더 적어지고 있다”며 “앞으로 소비 중심축이 될 20·30대 고객 층을 잡기 위해서라도 업체의 용량 다양화 전략은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백화점 ‘한끼밥상’ 제품./사진제공=롯데백화점롯데백화점 ‘한끼밥상’ 제품./사진제공=롯데백화점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