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나라곳간 좀먹는 예산적폐 없애라] 정책에 없던 내용이 불쑥...반복되는 '즉흥 증세'

'정치적 목적' 담뱃세 인상에

과표구간 간소화 약속도 어겨

예측 가능 조세정책 걸림돌

기획재정부는 매년 8월 세법개정안을 발표하며 ‘중장기 조세정책방향’도 같이 내놓는다. 세금제도가 예측 가능해야 이를 기반으로 중장기 재정계획도 제대로 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대 중장기 조세정책방향을 보면 언급되지 않았던 세금이 정치적 목적으로 갑자기 오르거나 제도를 개편하겠다고 해놓고 하지 않는 것들이 많았다. 전문가들은 중장기 조세정책방향의 실효성을 높여야 결국 재정계획도 안정적으로 짤 수 있다고 지적한다.

대표적인 것이 담뱃세 인상. 정부는 지난 2015년 담뱃세를 인상했지만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첫해인 2013년과 2014년 중장기 조세정책방향에 관련 내용은 없었다. 최경환 당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14년 7월 인사청문회에서 필요성을 밝힌 후 이듬해 전광석화처럼 단행됐다. 국민 건강을 위한다는 간판을 내걸었지만 명목세율 인상 없이 세수를 늘리려는 정치적인 목적이었다는 게 대다수의 평가다.


지키지 못하는 약속은 더 많았다. 2013년 자료를 보면 기재부는 주요 추진과제로 ‘법인세 과표구간 간소화’를 제시했다. 비록 ‘(예시)’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자료에 명시하며 추진할 의사를 밝혔다. 우리나라는 과세표준 2억원 이하 기업에 10%, 2억~200억원 이하에 20%, 200억원 초과에 22%를 매겨 총 3단계 누진세율로 운영 중이다. 하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국 중 22개국이 단일세율로 운영하므로 우리도 따라가야 한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세금체계는 변하지 않았고 최근에는 오히려 구간을 하나 더 만드는 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소득세 면세자 비중 축소도 마찬가지다. 당시 기재부는 “근로소득세 면세자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2011년 현재 36.1%로 여전히 높다”며 주요 추진과제에 면세자 비율 축소를 명시했다. 그러나 연말정산 파동을 거치며 비율은 2015년 현재 46.5%로 오히려 크게 올랐다. 재산세도 선진국은 보유세 비중이 높고 거래세가 낮지만 우리는 정반대이기 때문에 ‘보유세 적정화, 거래세 인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건드리지 못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