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정부 '베를린 구상' 연연할 때 아니다

북한이 지난 28일 밤 또다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를 강행함에 따라 한반도 안보지형이 급변하고 있다. 미국 대부분 지역을 타격할 수 있는 미사일 도발은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더 강한 제재를 예고하고 있다.


문제는 우리 정부의 스탠스다. 우리 정부도 사안의 심각성을 감안해 대응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압박과 대화를 함께하는 전략을 완전히 접지는 않고 있다. 이는 북한 도발 몇 시간 뒤에 개최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베를린 구상의 동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데서도 엿볼 수 있다. 북한 문제를 군사적 충돌 없이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문 대통령의 의도는 이해가 된다.

관련기사



그러나 지금 한반도 정세는 우리 정부의 구상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북한은 우리의 군사회담 제안에 미사일 도발로 대답함으로써 ‘통미봉남(通美封南)’의 뜻을 분명히 했다. 핵보유국의 지위를 명확히 해 미국과 동등한 자격에서 담판을 짓겠다는 것이다. 국제사회의 기류가 강경해지고 있는 점도 우리 정부가 움직일 공간을 좁히고 있다. 지난 4일 ‘화성-14형’을 발사한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또다시 도발을 감행함에 따라 처벌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 상원은 이미 27일 북한의 원유수입 봉쇄 등 제재안을 담은 법안을 압도적으로 통과시킨 바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움직임과 동떨어진 대화 타령을 하는 것은 북핵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아무 도움이 안 된다.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하는 한편 이번에 추가 배치를 결정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최대한 앞당기고 미국과의 미사일지침 개정 협상에도 속도를 내야 한다. 북한이 국제사회의 요구를 무시하고 도발 일변도로 가는 한 ‘평화의 운전석’에 앉겠다는 생각은 접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