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무형문화재 혼 담긴 전통공예 만나보세요

8월 서울·담양·수원서 공개행사

제106호 각자장 김각한 ‘실사구시’/사진제공=문화재청제106호 각자장 김각한 ‘실사구시’/사진제공=문화재청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가 오는 8월 서울과 전남 담양, 경기도 수원에서 개최된다.

오는 8월1일부터 6일까지 서울 서초구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에서 ‘제42호 악기장’ 김현곤,(편종·편경), 고흥곤(현악기), 이정기(북 제작) 보유자와 ‘제118호 불화장’ 임석환 보유자의 연합공개행사 ‘제5회 천년의 혼(魂)을 담는다’가 열린다. 악기장들은 전통기법으로 악기들과 악기 제작과정을, 불화장은 불화(佛畵) 작품전시와 제작과정을 선보인다.

제53호 채상장 서신정 ‘오합채상’/사진제공=문화재청제53호 채상장 서신정 ‘오합채상’/사진제공=문화재청


전남 담양에서는 8월24일부터 27일까지 채상장전수교육관에서 ‘제53호 채상장’ 서신정 보유자의 공개행사가 열린다. 채상(彩箱)은 종잇장처럼 얇고 가늘게 쪼갠 대나무(대오리)에 자주, 노랑, 녹색 등으로 염색하고 무늬를 놓아가며 고리를 짜 만든 상자로, 통풍이 잘돼 습기나 곰팡이가 생기지 않아 예로부터 귀한 물건을 담는 용도로 사용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보유자가 직접 채상 제작과정을 선보이며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반짇고리, 베개, 부채 등 다양한 공예작품도 감상할 수 있다.

제42호 악기장 김현곤 ‘편종’/사진제공=문화재청제42호 악기장 김현곤 ‘편종’/사진제공=문화재청


제118호 불화장 임석환/사진제공=문화재청제118호 불화장 임석환/사진제공=문화재청


8월29일부터 9월3일까지는 수원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제106호 각자장’ 김각한 보유자의 공개행사가 열린다. 각자장(刻字匠)은 나무판에 글자나 그림을 새기는 장인을 뜻하며, 인쇄를 목적으로 글자를 좌우로 반전해 새기는 반서각(反書刻)과 현판용으로 글자를 그대로 새기는 정서각(正書刻) 두 종류가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각자작품을 공개함과 함께 보유자와 제자들이 함께 전통 각자기법인 새김질과 목판인출(인쇄)법 시연을 펼칠 예정이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 행사는 무형문화재의 대중화와 보존·전승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난 2월부터 매월 개최되는 행사다. 문화재청은 “여름방학과 휴가철에 진행되는 이번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가 피서객들에게 섬세한 장인 정신과 전통공예의 미학을 선보일 기회가 될 것”이라 밝혔다.

관련기사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