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北 2차 ICBM 도발] "행동으로 대응해야"...트럼프·아베 한목소리

■美·日 정상 통화

中·러 추가 제재 거부땐

세컨더리 보이콧 대상에

양국기업 모두 포함 거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북한의 잇따른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미사일 발사에 ‘말’이 아닌 ‘행동’으로 대응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피력하며 대북 석유공급 중단 등 국제사회의 ‘중대 조치’를 견인하는 데 총력전을 펴고 있다. 대북 추가 제재에 소극적인 중국과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강화를 끝내 거부할 경우 북한과 거래하는 양국 기업들을 미국이 독자 제재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31일 AP와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50여분간의 전화 통화를 갖고 북측의 ICBM 도발에 대해 “추가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미일 정상은 특히 북한에 영향력이 큰 중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중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저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할 방안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이 쉽게 문제를 풀 수 있는데도 말만 할 뿐 북한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상황을 더는 허용하지 않겠다며 중국에 대한 경제·외교 제재를 함께 시사한 바 있다. 동유럽을 방문 중인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이날 동행 기자들에게 “중국이 (대북 압박을) 더 해야 한다”면서 “북한 불량정권에 의해 계속되는 도발은 용납할 수 없으며 역내 국가들의 도움을 결집해 경제·외교적으로 북한의 고립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단언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펜스 부통령이 “대통령과 나는 이란과 북한의 ‘불량정권’을 지원하는 문제와 관련해 러시아 정부의 행동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러시아를 향해서도 압박을 가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지난 4일 북측의 첫 ICBM 발사 이후 안보리에서 새 대북제재를 추진해온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도 이날 “북한에 대한 대화는 끝났다”며 “북한의 위험이 명백해진 지금 중국은 이제 ‘중대 조치’를 취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며 중국의 행동을 촉구했다. 안보리에서 이미 논의 중인 새 대북 제재 결의안에 석유공급 중단, 북 노동자 고용 금지 등 중대조치가 담길 수 있도록 중국이 협조하라는 압박이다.

미국의 태도가 점차 단호해지면서 지금까지 ‘세컨더리 보이콧(제3국 기관 제재)’ 시행을 저울질해 온 트럼프 행정부가 중·러 기업들을 겨냥한 독자 제재에 나설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은 이날 미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조만간 미국이 북한과 불법 거래를 하는 중국 기업들은 물론 러시아 기업 및 관계자에 대해 금융제재를 발동할 방침이라며 중·러 기업에 대한 동시 제재를 발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뉴욕=손철특파원 runiron@sedaily.com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