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이민화의 4차 산업혁명] 공기업 효율·소기업 혁신 결합을

창조경제연구이사회 이사장·KAIST 초빙교수

<42>혁신도시와 산업플랫폼

데이터·설비 등 개방·공유로

공기업, 산업플랫폼 변모 가능

많은 벤처들과 시너지 창출때

혁신도시는 4차혁명 견인차

이민화 창조경제연구이사회 이사장




혁신도시가 국가의 부담이라는 것이 대한민국의 불편한 진실이다. 초연결 지능의 4차 산업혁명에서 지식연결성을 위축시키는 지방 이전의 결과가 국가경쟁력 하락인데 수도권과의 소득 격차인 GRDP지니계수는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혁신도시가 이대로 가서는 안 되는 절실한 이유다.


혁신은 연결에서 발생한다. 연결은 시간·공간·인간의 거리를 좁혀야 가속화된다. 지방 이전은 경제의 중심인 수도권과의 연결성을 저하시켰다. 그렇다고 지방 산업 생태계와의 연결이 강화된 것도 아니다. 단순한 공간적 이동으로 국가와 기업과 개인 차원의 경쟁력만 약화시켰을 뿐이다. 그렇다고 원상 복구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혁신도시의 혁신이 요구되는 이유다.

우선 작게 시작하자. 혁신도시 전체 차원이 아니라 개별 공공기관과 공기업(이하 공기업) 차원에서 문제를 보자. 4차 산업혁명은 현실세계의 인간·공간·시간의 한계를 가상세계와의 융합으로 극복하는 혁명이다. 혁신도시의 공기업을 4차 산업혁명화해 전화위복으로 가는 계기를 만들어보자.


현실의 공기업을 가상화하는 것이 시작이다. 데이터(시간)와 설비(공간)와 조직(인간)을 클라우드에 빅데이터화해 현실의 공기업과 1대1 대응되는 평행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완벽할 수는 없다. 가능한 부분부터 단계별로 추진하면 된다. 우선 데이터를 분류해 국가안보와 개인비밀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클라우드에 공유하자. 이것만으로도 지방 이전에 따른 공간적 한계는 대부분 극복 가능하다.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워크로 수도권과의 실시간 연결성 회복이 가능하다. 수도권 출장 중인 간부진과의 실시간 소통도 보안 클라우드로 극복된다.

관련기사



다음 단계로, 비밀이 아닌 데이터의 공개를 통해 혁신도시와의 생태계 구축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나주의 한전이 제공하는 에너지데이터는 숱한 에너지벤처들의 참여를 촉발할 수 있다. 데이터와 더불어 공기업들의 미래 로드맵을 공개해 창업벤처들의 전략적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공유 가능한 설비 개방으로 공기업들은 드디어 플랫폼 기업으로의 변모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산업 플랫폼 형성을 혁신도시 공기업 혁신의 화두로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 경영의 양대 축은 효율과 혁신이다. 한 기업이 동시에 효율적이고 혁신적일 수 없다는 명제를 혁신의 패러독스라고 명명한 바 있다. 효율은 기업의 규모에 비례하나 혁신은 반비례한다. 혁신의 패러독스를 극복하는 대안이 바로 기업가정신에 기반을 둔 플랫폼 조직이다. 거대 공기업의 효율과 작은 벤처기업의 혁신을 결합하자는 것이 산업 플랫폼 전략이다. 이제 배타적 경쟁에서 호혜적 공유로의 전환이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의 관건이다.

산업 플랫폼은 공기업의 개방 플랫폼과 숱한 소기업의 결합으로 구축된다. 산업 플랫폼의 성공은 공유요소(component)와 공유규칙(rule)에 달려 있다. 공유요소들은 데이터와 설비와 조직 등이다. 공유규칙은 공유절차와 공유비용 및 이익배분으로 구성된다. 공기업들은 이제 폐쇄적 수직 계열화를 통한 효율에서 개방적 수평 협력을 통한 혁신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것이 4차 산업혁명이 던진 명제다. 산업 플랫폼을 통해 진정한 지방 이전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될 것이다.

이러한 산업 플랫폼들을 혁신도시 클러스터로 뒷받침하면 혁신도시는 국가의 부채가 아니라 자산이 된다. 나주의 예를 들면, 한전 등 에너지, 인터넷진흥원 등 정보통신,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농어촌, 콘텐츠진흥원 등 문화 분야의 산업 플랫폼을 뒷받침하는 혁신도시 클러스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학과 기존 기업들이 산업 플랫폼과 연결되는 개방 클러스터가 산업 플랫폼을 뒷받침해야 한다. 혁신자본과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 제공으로 혁신도시는 4차 산업혁명의 견인차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결과 공유가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는 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