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포격도발 원점’ 탐지레이더 개발…내년 실전배치

스웨덴제 아서-K보다 탐지거리·운용시간 길어

국내 개발이 완료된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수입 장비보다 탐지거리, 운용시간, 동시 목표 추적 능력 등이 크게 향상됐다. 내년부터 전방 사단에 배치될 예정이다./사진= 방위사업청 제공국내 개발이 완료된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수입 장비보다 탐지거리, 운용시간, 동시 목표 추적 능력 등이 크게 향상됐다. 내년부터 전방 사단에 배치될 예정이다./사진= 방위사업청 제공


북한군의 포격 도발시 ‘도발 원점’을 찾아내는 ‘대포병 탐지레이더-Ⅱ’의 국내개발이 완료됐다.


방위사업청은 3일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연구개발사업 종료회의가 지난달 28일 개발업체인 LIG넥스원에서 개최됐다”며 “이는 개발 사업의 성공적 종료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2011년 11월부터 약 540억원을 투자해 5년 9개월 동안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개발사업을 진행해왔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지난 4월 시험평가에서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은 데 이어 제작 기준이 되는 국방 규격도 정해졌다. 방사청은 내년 초 양산에 들어가 순차적으로 전방 부대에 실전배치할 계획이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수도권을 위협하는 북한군 장사정포를 무력화하기 위한 우리 군 대화력전의 핵심 장비로, 북한군이 쏜 포탄의 비행 궤도를 역추적해 장사정포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포병부대에 실시간으로 전파한다. 북한군 도발 원점을 정밀 타격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국산 ‘대포병 탐지레이더-Ⅱ’의 운용개념도. 적의 포격 원점을 바로 찾아내 즉각적인 보복 공격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림= 방위사업청 제공국산 ‘대포병 탐지레이더-Ⅱ’의 운용개념도. 적의 포격 원점을 바로 찾아내 즉각적인 보복 공격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림= 방위사업청 제공


우리 군의 기존 대포병 탐지레이더인 스웨덴산 ‘아서-K’는 탐지거리가 약 40㎞이지만,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60㎞를 넘어 적진 깊숙한 곳까지 샅샅이 훑을 수 있다. 연속 운용시간도 아서-K(약 6시간)보다 2시간 이상 길다.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는 안테나도 능동 위상배열 방식으로, 수동 위상배열 방식인 아서-K보다 동시 표적 처리 능력이 월등히 뛰어나다.


방사청은 “대포병 탐지레이더-Ⅱ가 전력화되면 기존 해외 도입 장비보다 탐지 범위, 작전 지속 시간, 동시 표적 처리 능력 등이 크게 향상돼 대화력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국내 기술로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정비와 후속 군수 지원이 용이할 뿐 아니라 운영유지 비용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ljglor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운용개념도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운용개념도[방사청 제공]

대포병 탐지레이더-Ⅱ

대포병 탐지레이더-Ⅱ[방사청 제공]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