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1 수능 개편안]교육계 “수능 절대평가, 방향 맞지만 부작용 발생할 것”

10일 발표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에 대한 교육계는 부작용이 발생할 것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입시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절대평가 전면 실시와 부분 도입 주장이 엇갈렸고, 학생과 학부모들은 새 제도에 대한 불안감과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확대에 대한 부담을 호소했다.


이번 수능 개편 시안은 최대 관심사인 절대평가와 관련해 2가지 안이 제시됐다.

1안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사회·과학·직업탐구 선택과목, 제2외국어·한문 등 총 7개 과목 중 국어, 수학, 탐구를 뺀 4과목에 절대평가를 적용하는 방안이고, 2안은 모든 과목에 적용하는 내용이다.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 측은 “절대평가로 가는 게 맞기는 하지만 1안과 2안 모두 장단점이 있다”며 “한 시험에 두 가지 평가 잣대가 존재하는 1안보다는 오히려 2안이 낫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종로학원 수시전략연구소 관계자는 “재수를 오래 한 수험생이나 학생부 관리가 안 된 학생들은 정시모집을 노려야 한다”며 “수능 변별력이 낮아지면 이런 기회를 잃게 되므로 절대평가 부분 도입이 현실적이다”고 주장했다.

종로학원하늘교육 관계자는 “1안이 선택된다면 현 수능과 큰 차이가 없어 일반고든 특목고든 자신의 입시전략에 맞춰 고등학교에 진학하면 된다”며 “2안이 실행될 경우 고교 내신관리에 실수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진학할 학교를 골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지역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절대평가를 한다면 일괄적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면서 “어떤 과목은 절대평가하고 어떤 과목은 상대평가로 남으면 학생들 집중도도 달라지고 결국 교과 간 형평성 논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감을 나타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