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1 수능 어떻게 달라지나…절대평가·통합과목·EBS연계율에 주목

절대평가 '4과목 vs 7과목' 두고 고민

통합사회·과학 학생 부담 줄일 수 있나

EBS연계율 "현행 유지"vs"폐지" 두고 공방

수능 치르는 수험생들/연합뉴스수능 치르는 수험생들/연합뉴스


올해 중학교 3학년들이 보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새로운 내용과 방식으로 치러진다. 절대평가 과목을 늘리고 통합사회·통합과학 과목을 신설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정부는 이례적으로 두 가지 시안을 내놓고 공청회 등을 거쳐 절대평가 범위 및 세부적인 개편 방안을 이달 31일 확정할 방침이다.

2021학년도 스능 개편 시안 발표/교육부2021학년도 스능 개편 시안 발표/교육부


교육부는 현재 중학교3학년부터 적용되는 2021학년도 수학능력시험 개편 시안을 10일 발표했다. 이번 시안의 최대 관심사는 절대평가로 이와 관련해 2가지 안에 제시됐다. 1안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사회·과학·직업탐구 선택과목, 제2외국어·한문 등 총 7개 과목 중 국어, 수학, 탐구를 제외한 4과목에 한해 절대평가를 적용하는 방안이다. 2안은 모든 과목에 적용하는 내용이다. 교육부는 두 가지 안을 놓고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1안이 채택되면 국어, 수학 등 주요 과목 중 상대평가로 남는 과목의 변별력 비중이 더욱 커질 것이다. 제2외국어 과목의 경우 운만 좋으면 좋은 등급을 받는 시험이라 알려진 아랍어 쏠림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절대평가 확대에도 현행 9등급제는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021학년도에 수능을 보는 학생들은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통합과학, 탐구(사탐·과탐·직탐 중 택1), 제2외국어/한문 등 7과목을 치르게 된다. 기존과는 달리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새롭게 치른다. 통합사회는 기존의 일반사회·지리·윤리·역사의 기본적인 내용을 담고, 통합과학은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과목을 핵심개념 위주로 통합한다.

관련기사



현 중3 학생들은 고등학교 1학년에 진학하면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각각 주당 최소 4시간씩 배우게 된다. 2·3학년에는 ‘일반선택’ 과목으로 기존의 한국지리·세계사 등과 물리Ⅰ·화학Ⅰ 등을 배우고, ‘진로선택’ 과목으로 더 심도 있는 여행지리·융합과학 등을 배울 수 있다. 교육부는 통합사회·통합과학을 신설하는 대신 선택과목을 기존 최대 2개 과목에서 1개 과목으로 줄였다. 그러나 통합사회·통합과학이 수능에 포함돼 학습 부담이 줄지는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EBS 교재의 연계율 또한 바뀔 예정이다. 교육부는 현행 70%인 연계율이 과도하다는 지적 등을 감안해 연계율과 관련해 두 가지 방안을 내놨다. 1안은 현행 70%인 연계율을 낮추거나 연계를 폐지하는 방안이다. 2안은 연계율을 유지하되 연계 방식을 개선하는 방안이다. 1안을 선택할 경우 학교 교육이 왜곡되는 현상을 해결할 수 있지만 농·산·어촌 등 취약지역 학생이 수능에 대비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사교육비 또한 늘어날 수있다. 2안을 선택할 경우 학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일각에서는 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 지적하고 있다. 교육부는 공청회 등 의견수렴과 후속 연구를 바탕으로 확정할 계획이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