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 "IT협력사와 현금으로 직거래하겠다"

업계 첫 재하도급 청산 선언

200여 협력사 年 1,100억 혜택

무상특허도 60여종으로 확대

1115A14 SK




SK가 정보기술(IT) 서비스 분야의 대표적 적폐로 꼽히는 ‘재하도급 거래 청산’을 선언했다. 실제 일을 하는 업체와 직접 계약하겠다는 것이다. 또 IT 서비스는 물론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도 모두 현금으로 구매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0여개 협력사가 연간 1,100억원의 거래대금을 현금으로 받게 됐다.


SK는 10일 IT 서비스 중소 협력사와 모두 직접 계약을 함으로써 재하도급 거래를 근절하겠다고 밝혔다. IT 서비스 분야에서 전면 직계약을 결정한 것은 SK가 처음이다.

재하도급 문제는 IT 서비스 분야의 고질적 병폐로 꼽힌다. 규모가 큰 1차 하청업체가 2차 하청업체로 넘기고, 2차 업체가 다시 영세 업체로 일을 넘기는 재하도급 관행이 횡행하면서 실제 일을 하는 곳이 제대로 된 비용도 못 받고 경우에 따라선 돈을 한 푼도 못 받는 일도 적지 않았다. 또 1차 하청업체는 협력사로 다양한 혜택을 받는 반면, 2차 하청업체는 실제로 일을 하면서도 아무런 지원을 못 받고 있다.


실제로 SK도 1차 하청업체에 대해 거래대금의 100%를 현금으로 주고 자금이 부족할 때는 동반성장펀드를 통해 은행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제공했다. 또 하청업체 임직원이 최신기술에 대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무료로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SK 본사 직원에 준하는 건강검진과 경조사 혜택을 줬다. 반면 SK의 1차 하청업체로부터 재하도급을 받는 2차, 3차 하청업체는 일을 대신 해 주면서도 거래대금을 어음으로 받고, SK가 제공하는 혜택은 전혀 받지 못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SK의 이번 결정으로 중소 협력사는 업무 재하도급이 불가능해지고, 2차 하청업체였던 곳이 1차 협력업체가 되면서 동반성장프로그램 혜택을 받게 됐다. SK는 2015년 8월부터 재하도급 사전 승인 제도를 통해 2차 하청업체 숫자를 130여개에서 20여개로 줄였지만, 이번에 재하도급을 완전히 근절한다는 계획이다.

SK는 또 용역 중심의 하도급에만 적용돼온 거래대금 100% 현금 지급을 HW·SW 등 상품계약을 포함한 모든 계약으로 확대하기로 하고, 200여개사에 1,100억원 수준의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무상 제공하는 특허의 종류도 37종에서 60여종으로 확대한다고 덧붙였다.

정풍욱 SK㈜ C&C사업 구매본부장은 “중소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의 첫 걸음은 직계약을 통한 재하도급 구조 최소화”라며 “IT서비스 사업 전반에 직계약 구조를 정착시켜 모든 협력사와 동반성장·상생협력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