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1학년도 수능 개편] "개편안 조속히 확정해야" "국영수 몰입 더 부추긴다"

교육계 절대평가 확대 큰흐름 찬성 속

교총·전교조, 전환속도·등급제 놓고 의견차

10일 공개된 정부의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안에 대해 교육계 반응은 다소 엇갈리고 있다. 절대평가라는 큰 흐름에서는 의견을 같이 했지만 전환 속도와 등급제 등을 두고 의견을 달리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교육현장은 물론 많은 국민이 수능 개편안을 조속히 내라고 요구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시안은) 다소 늦은 감이 있다”고 지적했다. 교총은 “충분한 의견수렴과 국민적 합의를 거쳐 개편안을 확정해달라”고 요구했다. 교총은 지난달 점수 경쟁 완화와 학교 교육 정상화를 위해 2021학년도 수능부터 공통과목에 한정해 문제를 출제하고 절대평가로 전환할 것을 정부에 제안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교육부의 두 가지 안 모두에 아쉬움을 표시하며 전 과목 절대평가와 함께 전 과목의 5등급제를 주장했다. 전교조는 “제1안과 제2안 둘 다 국·영·수 몰입교육을 더욱 확대시킬 것”이라며 우려했다. 제1안에 대해서는 “풍선효과로 인해 점수 편차가 큰 수학 등 상대평가 과목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며 ‘과목 간 불균형만 심화시키는 개악’이라고 평가했고, 제2안은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이라는 면에서 긍정적이지만 9등급제이기 때문에 절대평가의 의미를 제대로 살릴 수 없다”고 평가절하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2개안 모두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이라는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와 어긋난다”면서 “특히 일부 절대평가인 1안은 문재인 대통령의 1호 교육공약을 폐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절대평가로 가는 게 맞기는 하다”면서 “1안과 2안 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한 시험에 두 가지 평가 잣대가 존재하는 1안보다는 오히려 2안이 낫다”고 했다.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