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김태우 유진증권 상무 "中 기업 상장, 주관사가 책임지고 악재 살펴야"



“중국 기업의 국내 상장은 국내 상장 주관사가 200% 책임을 지고 투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김태우(사진) 유진투자증권 IPO팀 상무는 16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차이나 리스크’로 부진을 겪고 있는 중국 기업 상장 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해서 주관사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0년부터 중국 기업을 국내로 상장시킨 ‘1세대 중국통’ 김 상무는 “중국 기업을 상장시키는 국내 증권사들이 회계법인과 유기적으로 공조해 상장 이후 혹시라도 나올 수 있는 악재를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기업 상장 리스크는 지난해 6개사가 상장하며 붐을 이뤘지만 올 초 1세대 중국 기업 완리·중국원양자원이 회계 문제로 상장폐지 위기에 처하며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달 초 상장한 컬러레이홀딩스는 공모주 청약이 미달됐다.


김 상무는 지난해부터 상장하기 시작한 2세대 중국 기업들은 이미 철저한 모니터링을 거쳤다고 전했다. 그는 “이미 일부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중국 기업의 고객사 50% 이상을 찾아가서 실제 매출 여부를 확인한다”며 “매출 채권뿐 아니라 중국 당국에 내는 세금까지 확인하는 작업도 추가로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상장 전뿐 아니라 상장 후에도 ‘애프터서비스(AS)’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상무는 “중국 기업의 상장 후 2년간은 주관사가 공시 등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일부 증권사들은 중국 상장사에 비상임이사 등을 파견하는 식으로 중국 기업을 감시한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시간이 더 걸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시장의 부정적 평가에 유진투자증권도 올해 말 상장 예정인 중국 기업 윙입푸드의 공모가를 기존 할인된 것보다 더 가격을 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