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美몬산토, 새 종자 개발에 한국 유전자가위 기술 활용

툴젠과 기술사용권 계약

非GMO 작물개발 가속화

세계 1위 종자 회사인 미국의 몬산토가 한국 벤처기업의 유전자가위 원천특허 기술를 활용해 고품질 작물 개발에 나선다.

유전자교정 전문기업 툴젠(199800)은 몬산토가 자사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 특허기술을 사용해 다양한 종자를 개발할 수 있도록 비독점적인 글로벌 통상실시권 계약을 맺었다고 17일 밝혔다.

몬산토는 툴젠의 기술을 사용하는 대가로 선급금, 개발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 제품 판매에 따른 로열티를 지불한다. 자세한 조건은 양사 합의에 따라 공개하지 않았다.


몬산토는 이 기술로 기후·병해충 등 재배환경 변화에 맞는 옥수수·콩· 면화 등 다양한 종자를 개발할 계획이다. 유전자가위 기술을 활용하면 작물의 특정 유전자 부위를 잘라내 영양성분·수확량 등을 늘리거나 기후변화·병충해에 강한 품종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다. 이런 작물은 외부 유전자를 끼워 넣은 유전자변형작물(GMO)이 아니어서 미국·아르헨티나 등에서 GMO 관련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

관련기사



김종문 툴젠 대표는 “세계 1위 농업기업 몬산토가 툴젠의 유전자가위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다른 기업들과도 계약 성사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탐 아담스 몬산토 부사장은 “툴젠의 기술을 활용하면 농민과 소비자들이 원하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고품질 작물들을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몬산토는 미국은 물론 남미·인도 등 해외 각지에서 재배되는 옥수수·콩의 대다수를 공급하는 세계 최대 종자회사다. 세계 최초로 유전자변형작물(GMO)을 상업화했으며 전 세계 종자 시장의 43%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150억 달러(약 18조원)에 이른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